삼성전자·LG전자·TCL·로보락 韓中경쟁
사물인터넷 제어·아이와 반려동물 살펴
홈트 함께하고 보조 스크린 역할도
거대언어모델 기반 생성 AI로 대화도

[서울=뉴스프리존]이정우 기자=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가 ‘반려 로봇’, ‘집사 로봇’, ‘공장 로봇’, ‘청소 로봇’ 등 인공지능(AI) 로봇 기술의 각축장이 되고 있다. 

삼성전자가 공개한 AI 반려 로봇 볼리.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공개한 AI 반려 로봇 볼리.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우리 기업들이 치고 나가자 TCL과 하이센스 같은 중국 기업이 추격하는 모양새다.

삼성전자는 CES 개막에 앞서 6일(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에서 연 프레스 콘퍼런스에서 인공지능(AI) 컴패니언 '볼리'를 올해 상반기에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20년 CES에서 착용형(웨어러블) 보행보조 로봇 '젬스'(GEMS)와 함께 강아지처럼 사용자를 따라다니며 명령을 수행하는 볼리 콘셉트를 공개한 지 4년 만이다.

노란 공 모양의 볼리는 사용자의 패턴을 지속적으로 학습해 진화하는 AI 로봇이다. 다양한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제어하고, 아이와 반려동물 등을 살피는 역할도 한다. 시야 밖에 있는 아이나 반려동물을 모니터링해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필요한 조치를 한다.

또 홈트레이닝을 함께하거나 재택근무를 할 때 보조 스크린 역할을 하는 등 집안 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돕는다.

LG 월드 프리미어에 등장한 이동형 AI홈 허브(코드명:Q9)의 모습. (사진=LG전자 제공)
LG 월드 프리미어에 등장한 이동형 AI홈 허브(코드명:Q9)의 모습. (사진=LG전자 제공)

LG전자도 이날 CES 행사장에서 ‘LG 월드 프리미어’를 열어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업해 이동형 AI홈 허브이자 로봇인 'AI 에이전트‘(프로젝트명 Q9) 개발과 출시 계획을 밝혔다. 

올해 출시 예정인 Q9은 집안 내 다양한 가전과 IoT 기기들을 연결하고 제어하는 이동형 AI로 스크린과 양쪽 다리(바퀴) 형태를 갖춘 ’집사 로봇‘이다. 스크린에 띄워진 눈으로 눈웃음을 짓거나 윙크하는 등 감정을 표현하고 춤도 춘다.

또 LG AI홈의 두뇌 역할을 하는 LG 퓨론(FURON)을 탑재해 고객의 상황과 맥락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기와 서비스를 제어한다.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생성 AI로 고객과 자연스러운 대화도 가능하다.

중국 가전업체 TCL이 프레스 콘퍼런스에서 공개한 에이미. (사진=연합뉴스)
중국 가전업체 TCL이 프레스 콘퍼런스에서 공개한 에이미. (사진=연합뉴스)

중국 업체 TCL도 이날 만달레이베이에서 연 프레스 콘퍼런스에서 AI 로봇 '에이미'(AiMe)를 공개했다. 영상으로 공개된 에이미는 반려동물처럼 아이와 함께 놀며 '맞춤형 동반자', '메모리 리코더' 등의 특징을 보였다. 구체적 스펙이나 세부 기능은 공개되지 않았다.

무대에서도 '스마트 홈 시큐리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문 뒤에 있는 모습만 살짝 보였다.

다른 중국 가전회사 하이센스는 지난해 9월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 'IFA 2024'에서 AI 로봇 '할리'를 공개했다. 이번 CES에서도 할리가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로보락 신제품 티저 영상 중 집게팔이 움직이는 모습. (사진=로보락 유튜브 갈무리)
로보락 신제품 티저 영상 중 집게팔이 움직이는 모습. (사진=로보락 유튜브 갈무리)

중국 청소기업체 로보락은 이번 CES에서 로봇 홈 어시스턴트 '로보락 사로스(Saros) Z70'를 처음 공개했다.

세계 최초로 대량 생산된 5축 접이식 기계식 로봇 팔 옴니그립을 탑재한 로봇청소기다. 슬림한 본체에 장착된 로봇 팔이 양말, 수건, 샌들 등 최대 300g 이하의 가벼운 물건을 들어 옮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