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 정부, 달래거나 보복할 방법 모색

[서울=뉴스프리존]정병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의 두번 째 임기가 다음주 20일(현지시각)부터 시작된다. 취임 전부터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며 이미 세계를 '보편 관세'로 위협하고 있는 트럼프 신정부에 대비해 각국은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 지난해 11월 2일 노스캐롤라이나 개스토니아 공항에서 열린 유세에 참석해 방탄유리로 둘러싸인 연단에 오르는 모습이다.(사진-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 지난해 11월 2일 노스캐롤라이나 개스토니아 공항에서 열린 유세에 참석해 방탄유리로 둘러싸인 연단에 오르는 모습이다.(사진-AFP, 연합뉴스)

문재인 정부에서 통상교섭본부장을 지낸 여한구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트럼프 2.0의 무역정책은 1.0에 비해 훨씬 더 급진적인 것 같다"고 평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5일 전했다.

그는 세계 각국에게 현재 상황은 "죄수의 딜레마와 같다"면서 "모든 국가에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뭉쳐서 저항하는 것이지만 각 국가는 경쟁자보다 더 나은 거래를 하기 위해 경쟁할 동기가 있다"고 말했다.

각국 정부는 트럼프를 달래는 방법을 찾는 한편으로 필요할 경우 보복할 방법도 모색하고 있다. 멕시코와 캐나다는 마약과 국경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하면서도 트럼프 신정부가 관세 폭탄을 안긴다면 보복할 것이라고 공개 경고했다.

중국은 미국의 위협이 오래전부터 있어왔기 때문에 방어와 보복 전략을 준비할 시간을 충분히 가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트럼프 당선인이 무역 정책과 관련한 요직들에 중국을 공격해온 인사들을 지명해 미중 무역전쟁은 1기 정부때보다 더 장기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전개될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진단했다. 

'중국 매파'들로 불리는 국무장관 지명자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중국이 제재 명단에 올린 인물이고 국가안보보좌관이 될 마이크 월츠 플로리다 하원의원은 2021년에 미국이 "공산당과 냉전 중"이라고 선언한 이력을 갖고 있다.   

트럼프 신정부 국무장관으로 지명된 마르코 루비오 공화당 상원의원(사진=AP, 연합뉴스)
트럼프 신정부 국무장관으로 지명된 마르코 루비오 공화당 상원의원(사진=AP, 연합뉴스)

베트남은 미국의 중국 봉쇄로 가장 많은 혜택을 본 나라다. 지난 2018년부터 2019년 사이 트럼프 1기 정부가 중국 수입 제품에 10% 내지 25%의 관세를 부과했을 때 베트남의 대미 수출은 두 배 이상 늘었다. 지난해 대미 무역흑자가 1000억달러 규모에 달하면서 트럼프 신정부의 무역 재균형 정책 대상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베트남 정부는 미국으로부터 천연가스와 항공기 등을 더 많이 사들이겠다고 약속했다. 도 훙 비엣 베트남 외교부 차관은 지난해 11월 하노이에서 열린 비스니스 서밋 행사에서 "미국과 조화롭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무역을 촉진하는 것을 지지한다"면서 이런 계획을 밝혔다.

한국과 대만 정부도 트럼프의 분노를 피하기 위해 미국으로부터의 에너지 수입을 늘리는 계획을 고려중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유럽연합(EU)에서는 트럼프 신정부의 보편관세가 현실화 될 경우 유럽에서 수익을 내고 있는 미국 기업들에 대한 과세를 늘리자는 목소리가 나온다. 유럽의회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갖고 있는 유럽국민당(EPP) 대표는 지난 4일(현지시각) 독일 풍케 미디어그룹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디지털 기업들이 EU에서 매출은 많이 올리면서 세금은 거의 내지 않고 있다"면서 이런 주장을 펼쳤다.

중국이 미국의 관세를 피해 수출을 아시아 시장으로 돌린다면 역내 국가들에겐 경제적 도전이 될 수 있다. 베트남과 태국, 인도네시아, 인도 등의 아시아권 국가의 제조업체들은 가격과 품질 면에서 중국 제품과 경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인소날 바르마 노무라 증권 수석 경제학자는 "트럼프의 관세로 중국의 수출이 아시아로 이전된다면 이 지역 국가들이 경쟁하기는 매우 어렵다"면서 "많은 정부들이 이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블룸버그에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