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만여 관람객, SK온 부스 찾아
3대 폼팩터·액침냉각 등 인기
AI 활용 배터리 혁신 전략 소개도

인터배터리 2025가 열린 서울 강남구 코엑스 SK온 부스를 찾은 관람객들이 배터리 제품들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SK온 제공)
인터배터리 2025가 열린 서울 강남구 코엑스 SK온 부스를 찾은 관람객들이 배터리 제품들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SK온 제공)

‘인터배터리 2025’에 참가한 SK온이 지난 5일부터 사흘간의 전시 기간 동안 약 7만여명으로 추산되는 관람객들이 서울 강남구 코엑스 자사 부스를 다녀갔다고 7일 밝혔다. 

‘미래를 향해 꿈을 펼치다’를 테마로 꾸며진 SK온 전시 부스는 각 나라 대사관 구성원, 업계 최고경영진 등 국내외 정∙재계 인사들뿐 아니라 대학생, 군인 등 다양한 관람객들이 방문했다. 

6일 부스를 방문한 제프 노엘 미국 켄터키주 경제개발부 장관은 “상당히 인상적이고 혁신적이었다”는 평가를 전했다. 

파우치형·각형·원통형의 3대 폼팩터를 모두 전시한 SK온은 시장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기술력을 내세웠다. 

특히 이 회사가 개발 뒤 처음으로 공개한 46파이(지름 46mm) 원통형 배터리 실물 모형이 많은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총 3가지의 원통형 사이즈(4680·4695·46120)를 전시한 SK온은 2024년 하반기 파일럿 라인을 준공하고 품질·생산·공정·양산성 등을 검증하며 최적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웨덴에서 사업체를 운영 중인 윌리엄 베르그(William Bergh)씨는 “(SK온이) 3개 폼팩터를 모두 할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며 “회사가 추구하는 방향과 소구점을 잘 보여주는 것 같다”고 말했다. 

SK온은 가격경쟁력, 성능, 수명, 안정성을 고루 갖춘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도 이번 인터배터리에서 처음으로 전시했다. 고에너지밀도의 하이니켈 NCM 배터리와 가격경쟁력과 열안정성을 지닌 LFP(리튬∙인산∙철) 배터리의 특성을 균형 있게 반영한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는 소위 ‘가성비’를 선호하는 현 시장 트렌드와 잘 맞는 제품으로 평가받는다. 

액침냉각기술이 적용된 장치가 차체에 적용된 모습. (사진=이정우)
액침냉각기술이 적용된 장치가 차체에 적용된 모습. (사진=이정우)

SK온과 SK엔무브가 손을 잡고 개발한 전기차용 액침냉각 기술도 관람객들의 호기심을 자아냈다. 액침냉각은 배터리 셀 전체를 절연성 냉각 플루이드(Thermal Fluids)에 침지시켜 냉각하는 방식으로 셀 간 온도 편차를 줄여 충전 시간 단축 및 수명 연장 효과를 지닌다. 

배터리 업계에 종사하고 있다는 한 관람객은 “액침냉각 컨셉은 처음 보는 거라 신기했다”며 “실제 어떻게 작동될 지 기대가 된다”고 말했다. 

‘인터배터리 2025’의 부대 행사로 열린 ‘더 배터리 컨퍼런스’에서 SK온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배터리 사업기술 전략을 발표했다. 

김상진 SK온 N/F 제품개발실장 부사장은 AI가 핵심이 되는 SK온만의 ‘배터리 파운데이션 모델’을 2028년께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해당 파운데이션 모델은 기업 운영에 사용되는 내외부 데이터에 기반해 제조·품질·영업·재무·전략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모든 데이터를 학습하고 SK온의 전부를 이해하는 지능형 AI 모델을 말한다. 

AI를 통해 기존 방식보다 더 빠르고 효율적인 원가로 높은 품질의 배터리를 개발·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SK온은, AI를 활용해 차별적 경쟁 우위를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