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자리 시작으로 사퇴 이끌어낼 것”

사진=금융노조 기업은행지부
사진=금융노조 기업은행지부

김성태 IBK기업은행장이 내부 출신으로 유례없는 노조의 강력한 사퇴 압박을 받고 있다. 올해 말 임기 만료를 앞두고 내부 갈등을 봉합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 기업은행지부는 지난해 12월말 첫 단독 총파업을 실시한 데 이어 이번에는 김성태 은행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이에 차기 행장으로 관 출신이 올 수 있다는 말도 나온다. 부당대출 사태를 해결하기에는 외부 인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윤종원 전 행장에 앞선 조준희·권선주·김도진 전 행장 모두 내부출신이었는데 이들은 노조의 강력한 사퇴 압박을 받은 적이 없다. 김 행장의 임기는 내년 1월2일까지다.

금융노조 기업은행지부는 16일 오전 ‘임단투 필승 및 조직 사수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현장에는 금융노조 지부대표자 및 상임간부, 기업은행지부 조합원 등 1500여 명이 참석했다. 더불어민주당 정태호·박홍배 의원, 조국혁신당 차규근·신장식 의원,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도 자리했다.

대회사에 나선 류장희 기업은행지부 위원장은 “오늘 결의대회는 기업은행의 노동환경은 물론, 은행의 미래를 바꾸는 투쟁”이라며 “이 자리를 시작으로 경영진의 사퇴를 공식적이고 공개적으로 반드시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

이어 “노동자의 정당한 요구는 외면하면서, 뒤로는 부당대출이라는 중대한 사고를 저지른 경영진이 그 책임마저 현장 노동자들에게 떠넘기고 있다”며 “경영진은 목숨을 부지하고 싶다면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노동자의 눈물을 닦아줄 대안을 제시하라”고 경고했다.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기업은행 노동조합 위원장 출신으로서, 은행 창립 이래 이렇게 심각한 부당대출 문제가 불거진 적은 없었다”며 “김성태 은행장은 취임 당시 ‘튼튼한 은행, 반듯한 금융, 행복한 조직’을 만들겠다고 약속했지만, 지금의 기업은행이 그 약속을 지키고 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또 “자신의 책임은 외면한 채 무고한 직원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은행장은 퇴진하는 것이 마땅하다”며 “지치지 말고 더 단단하게 힘을 모아 끝까지 싸우자”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2일 기업은행지부는 882억 원 규모의 부당대출 사태와 관련해 김성태 은행장이 책임을 직원들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며 ‘현장 혁신안 10가지’를 발표한 바 있다.

혁신안에는 ▲경영진 총사퇴 및 책임자 엄중 문책 ▲중기대출·창업기업·기술금융 KPI 폐지 ▲무한경쟁 유발 가산점 폐지 ▲부당지시자 엄중 처벌 및 취급자 면책 제도 도입 ▲부당대출 신고시 노조 포함 진상조사위원회 개입 ▲법률·심리상담 지원 제도 마련 ▲퇴직직원 자회사 및 협력사 낙하산 인사 근절 ▲골프 등 접대성 친목 모임 전면 금지 ▲법무사 배정 시스템 도입 및 유착 발각시 엄중 처벌 ▲여신 심사부서 완전한 독립 부서로 전환 등이 포함됐다.

쇄신위원회 구축해 순차적으로 하나씩 보도자료 통해 안내하고 있다. 각 부서마다 실질적 내용을 담고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키워드
#기업은행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