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매출 증가·영업익 감소 전망
자동차 관세 장기화 땐 실적 타격 불가피
美 업계 "부품관세로 가격인상·판매감소"
한미 2+2 등 양국 통상협상이 실적 판가름

국내 1, 2위 완성차업체인 현대차와 기아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25% 자동차 관세 직격탄에도 1분기 매출이 늘고 영업이익은 소폭 감소하는 등 실적을 방어할 전망이다.
두 회사가 미국 현지에서 가격 인상 없이 현지 재고로 대응한 결과로 분석된다.
현대차(24일)와 기아(25일)의 1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23일 증권업계 전망치에 따르면, 현대차의 올해 1분기 매출은 43조4352억원, 영업이익은 3조5430억원으로 전망됐다. 예상 영업이익률은 8.2%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실적(매출 40조6585억원·영업이익 3조5574억원)보다 매출은 6.8% 늘고, 영업이익은 0.4% 줄어든 수치다.
기아의 올해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전망치는 각각 27조8101억원과 3조2287억원이었다. 영업이익률은 11.6%로 예상됐다.
지난해 1분기 매출 26조2129억원, 영업이익 3조4257억원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이번 1분기 전망치는 매출이 6.1% 늘고, 영업이익은 5.8% 줄어든 것이다.
1분기 선방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재고량은 2∼3개월 내 소진될 가능성이 커 관세 효과가 본격화될 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재고 ‘밀어내기’를 위해 현지 인센티브가 높아지는 것도 수익성을 떨어트릴 전망이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현대차 앨라배마공장, 기아 조지아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 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가동률을 끌어올려 현지 생산 조기 확대로 관세에 대응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이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당시 반도체 수급난을 빠르게 수습하며 글로벌 완성차 3위 그룹으로 떠오른 전력이 있어 이번 관세에 따른 공급망 혼란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또 무차별적 자동차 관세와 5월3일 이전 발효 예고된 자동차 부품 관세가 완화되거나 철회될 가능성도 있다.
미국의 자동차 업계는 22일(현지시각) 자동차 부품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취소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영국 통신 <로이터>는 미국의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를 대표하는 '자동차혁신연합'(AAI)과 디트로이트 3대 자동차 제조사인 GM과 포드, 크라이슬러가 주축인 '자동차정책위원회'(AAPC)가 이같은 내용의 서한을 미 당국자에게 보냈다고 보도했다.
이 서한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에게 전달됐다.
이들은 서한에서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는 글로벌 자동차 공급망을 혼란에 빠트릴 것"이라며 "소비자 자동차 가격 상승 및 딜러십 판매 감소와 차량 유지·수리비를 더욱 오르게 하고 예측 가능성을 낮추는 등의 도미노 효과를 일으킬 것"이라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14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과 회담하는 자리에서 일부 미국 자동차 업체에 대해 "그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되던 부품을 이곳(미국)에서 만들기 위해 (생산을)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은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다"며 관세 유예를 시사한 바 있다.
한편 방미 중인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 밤 9시(한국시각) 워싱턴 재무부 청사에서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관세 등 한미 2+2 통상 협의에 나선다.
이 협의를 시작으로 이어질 두 나라 정부의 통상 협상 결과가 현대차와 기아의 2분기 이후 실적을 판가름할 전망이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