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가 흐름 알뜰폰...해킹 뒤 SKT 망 가입자 이탈
알뜰폰 업계 "유심 교체 민원·택배비 보상해야"
전체 알뜰폰 가입자 증가 가팔라 1천만 눈 앞

SK텔레콤 해킹 사고 뒤 SK텔레콤의 알뜰폰 자회사 SK텔링크 등 SK텔레콤 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사업자들이 가입자 이탈과 민원 폭증, 유심 교체 비용 부담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알뜰폰 업계에서는 이들에게도 앞으로 SK텔레콤이 보상을 진행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23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링크 가입자는 4월26일 이후 이달 20일까지 약 4만4천여명이 줄어들었다.
SK텔링크 가입자는 해킹 사고 발생 전까지 하루 기준 100명 안팎으로 증가하는 흐름이었다. 한데 해킹 사고가 알려진 지난달 22일 이후인 25일 230여명이 감소한 데 이어 26일 1700여명이 줄어들며 가입자 이탈이 본격화했다.
28일 약 4200명이 이탈해 정점을 찍은 뒤 3천명대 이탈 추세가 이어졌다. 이달 16일부터 이탈자가 1천명 아래로 내려온 뒤 감소 폭이 줄어든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런 가입자 이탈은 SK텔링크뿐 아니라 SK텔레콤 망을 이용하는 다른 알뜰폰 사업자들도 함께 겪고 있다.
알뜰폰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 망을 이용하는 요금제 가입자는 많이 이탈하고 KT와 LG유플러스 망을 이용하는 요금제 가입자는 증가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알뜰폰 사업자는 일반적으로 통신 3사 망 중 여러 개를 함께 사용해, SK텔레콤 망 이용 요금제의 가입자가 이탈해도 KT나 LG유플러스 망 이용 요금제의 가입자 수가 늘어 전체 가입자 수는 오히려 늘어나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SK텔레콤 망만 사용하는 신생 알뜰폰 업자들은 피해가 클 것으로 보인다.
알뜰폰 업계는 해킹 사고로 인해 가입자 민원이 폭증한 것과 유심 교체를 원하는 고객에게 택배로 유심을 보내면서 발생한 택배비 등을 SK텔레콤이 보상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알뜰폰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 때문에 발생한 일이니 무조건 책임지고 보상해줘야 한다"며 "택배비나 SK텔레콤 해킹 관련 민원을 받느라 다른 업무를 하지 못한 부분도 보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사업자들이 지불한 택배비 등을 향후 망 이용대가 정산 금액에서 제하는 방법과 피해 금액을 직접 지급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해킹 사고 뒤 SK텔레콤 가입자의 타 통신사 이동이 늘어나면서 알뜰폰으로 넘어가는 경우도 많아 알뜰폰 가입자는 1천만명 달성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16일 발표한 3월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 현황에 따르면 알뜰폰 가입자는 976만2724명으로 전체 휴대전화 가입자의 17%를 차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 SKT 단말기 고유식별번호 유출 우려...2022년 6월 악성코드 설치
- [통신시장 재편 방아쇠]① SKT, 신규 가입 중단·이용자 이탈·대리점 고사 위기
- 정부, SK텔레콤 위약금 면제 6월 말 결정…행정처분 수위도 법률 검토
- SKT, 9일까지 2564만 이용자에 1차 유출통지...개인정보위 의결 따라
- 최태원 SK 회장, "SKT 해킹 뼈아프게 반성…문제 해결에 최선"
- 'SKT 해킹'에 5월 94만명 번호이동...해킹 전 3월 대비 77% 늘어
- 단통법 폐지·SKT 신규 재개 앞두고 LGU+ 1800개 매장서 '보안서비스'
- 신규영업 재개 SKT, 위약금 등 보상안 신뢰회복위 검토중
- SKT, 해외체류·군복무·입원 등에 위약금 면제 기간 별도 적용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