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어디서든 초고속·대용량 통신 가능
내년 1분기 양산...글로벌 통신시장 공략
“차량용 통신모듈 사업 조 단위 육성”

5G 광대역 위성통신을 지원하는 LG이노텍 ‘3세대 5G 통신모듈’. (사진=LG이노텍 제공)
5G 광대역 위성통신을 지원하는 LG이노텍 ‘3세대 5G 통신모듈’. (사진=LG이노텍 제공)

LG이노텍이 5G 광대역 위성통신을 지원해 언제 어디서든 끊김 없이 초고속 통신이 가능한 차량용 통신모듈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LG이노텍이 이날 선보인 '3세대 5G 통신모듈'은 자동차 안에 장착해 5G 광대역(약 30MHz 폭의 넓은 통신 대역) 통신을 통해 기지국·위성 등 네트워크 인프라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부품이다. 지상 기지국과 연결이 끊긴 상황에서도 인공위성을 통해 어디서든 통신이 가능하며, 광대역망을 사용해 초고속·대용량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이는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oftware Defined Vehicle, SDV) 및 자율주행 구현을 위한 핵심 기능으로 꼽힌다. 

기존 위성통신이 가능한 차량용 5G 통신모듈은 협대역(약 0.2MHz 폭의 좁은 통신 대역) 기반에 머물러 있었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수백kbps 수준이어서 간단한 문자 메시지 등 저용량 데이터 전송은 가능하지만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어려워 자율주행 고도화 등 첨단 기술 구현에는 제약이 따랐다. 

이에 비해 3세대 5G 통신모듈은 기존 5G 위성통신 지원 제품 대비 데이터 전송 속도가 수백 배 빠르고, 데이터 전송 시 지연 시간(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수초 단위에서 수백 밀리초 수준으로 짧아졌다.  

LG이노텍 직원이 ‘3세대 5G 통신모듈’을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LG이노텍 제공)
LG이노텍 직원이 ‘3세대 5G 통신모듈’을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LG이노텍 제공)

이 부품을 차량에 장착하면, 자동차가 사막·산악지대 등 오지에 있거나 재난 및 자연재해로 인프라가 붕괴된 상황에서도 끊김 없이 초고속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고 발생 시 구조 요청 신호와 차량 상태 정보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어 운전자가 안전하게 구조될 수 있다. 

위성통신을 통해 어디서든 정확한 위치 정보 송수신이 가능해 자율주행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해 주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LG이노텍은 내년 1분기까지 3세대 5G 통신모듈을 양산해 글로벌 차량 통신 모듈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이를 앞세워 북미·일본 지역의 완성차 업체를 대상으로 프로모션을 추진하고 있다. 

유병국 LG이노텍 전장부품사업부장(전무)은 “차량 통신모듈은 차량 조명과 함께 LG이노텍의 전장사업을 이끌 핵심사업”이라며, “차별적 고객가치를 창출하는 혁신 부품을 지속 선보이며, 차량 통신모듈 사업을 조 단위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5G 통신모듈을 탑재한 전 세계 차량은 2024년 400만대에서 2032년 7500만대로 늘어 연평균성장률이 43%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