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광저우 공장 매각 뒤 국내 복귀
OLED 신기술 설비·투자 집중해 수요 대응

LG디스플레이 경기도 파주사업장 전경. (사진=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 경기도 파주사업장 전경. (사진=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조 단위 대규모 투자계획을 17일 발표했다.

LG디스플레이는 이날 이사회를 열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 경쟁력과 성장 기반 강화를 위해 1조2600억원을 투자하기로 의결했다고 공시했다. 차별화한 OLED 기술력을 토대로 디스플레이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취지다.

2027년 6월30일까지 약 2년의 기간 동안 OLED 신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설비 등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날 발표한 금액 중 약 7천억원은 경기도 파주 사업장에 집중투자해 OLED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영국 시장조사업체 옴디아(Omdia)에 따르면, 2024년 533억1057만달러(약 76조원) 규모의 전세계 OLED 시장은 연평균 5%씩 성장해 2028년에는 686억7500만달러(약 100조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이에 반해 2024년 789억4304만달러(약 112조원)였던 LCD 시장은 같은 기간 1% 성장으로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LG디스플레이는 이런 시장 전망을 바탕으로 성장하는 OLED 시장에서 경쟁업체들과 격차를 벌리려고 프리미엄 제품 개발에 집중투자할 계획이다. 이번 대규모 투자를 통해 차세대 프리미엄 OLED 기술이 적용된 패널과 모듈 인프라 구축에 집중할 방침이다.

LG디스플레이가 '세계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 디스플레이 위크 2025' 행사장에 마련한 전시 부스 모습. (사진=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가 '세계정보디스플레이학회(SID) 디스플레이 위크 2025' 행사장에 마련한 전시 부스 모습. (사진=LG디스플레이 제공)

지난해 9월 중국 광저우 LCD 공장을 매각한 LG디스플레이는 국내에서 진행하는 첫 투자로 OLED 신기술과 인프라 투자를 선택했다. 이는 국가 경제 회복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LG디스플레이는 설명했다.

LG디스플레이는 광저우 대형 LCD 패널·모듈 공장 지분을 중국 TCL의 디스플레이 자회사 CSOT(차이나스타)에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매각 대금은 당초 예상보다 많은 2조2466억원 규모다.

이를 통해 확보된 자금을 OLED 사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시설투자, 연구개발, 운영비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이르면 다음 달 중 경기도·파주시와 투자 양해각서를 맺을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 보조금 지원 여부와 규모는 산업통상자원부 심의 등을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해외진출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와 같은 국가 전략 기술 분야 업종은 국내 복귀시 수도권 사업장당 최대 500억원(국비 200억원·지방비 300억원)까지 투자 보조금이 지급된다.

정철동 LG디스플레이 사장은 "지난해 반전의 기반을 만들었다면, 올해는 도약하는 해가 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며 "LG디스플레이만의 차별화 기술과 제품을 선제적으로 발굴해 고객가치를 제공하고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