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평촌 2센터에 액체 CDU 공급 시험 운영
AI 데이터센터 환경서 첫 기술 실증...기술 고도화 추진
10년 넘게 데이터센터 냉각 설루션 공급...시장 선점 나서

LG유플러스 직원들이 AI 데이터센터 액체 냉각 설루션인 LG전자 CDU를 테스트하고 있다. (사진=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 직원들이 AI 데이터센터 액체 냉각 설루션인 LG전자 CDU를 테스트하고 있다. (사진=LG유플러스 제공)

LG전자가 LG유플러스와 함께 AI 데이터센터(AIDC) 액체 냉각 설루션 시험 운영을 통해 기업간거래(B2B) 시장을 겨냥한 AIDC 맞춤형 액체 냉각 기술 고도화에 나선다. 

LG전자는 최근 LG유플러스의 초대형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인 ‘평촌2센터’에 액체 냉각 설루션인 냉각수 분배 장치(CDU·Coolant Distribution Unit)를 공급했다고 29일 밝혔다. 

LG전자가 외부에서 AIDC 냉각 설루션의 기술 실증을 진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발열량이 많은 AI 서버 환경에서 CDU 성능을 테스트하며 이번 실증을 발판 삼아 AIDC 냉각 설루션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액체 냉각 설루션은 고발열 부품인 CPU(중앙처리장치)·GPU(그래픽처리장치) 등에 부착된 냉각판에 냉각수를 흘려보내 열을 식히는 방식이다. 공간을 작게 차지하면서도 에너지 효율이 높다. 

대규모 데이터 처리와 고성능 연산을 위해 다수의 CPU·GPU를 사용하는 AIDC는 기존 데이터센터보다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하고 발열량도 늘어나 액체 냉각 설루션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번에 실증을 진행하는 LG전자 CDU는 가상센서 기술이 적용돼 주요 센서가 고장 나더라도 펌프와 다른 센서 데이터를 활용해 고장난 센서 값을 바로잡아 냉각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작동시킨다. 또 인버터 기술이 적용된 펌프는 상황에 따라 필요한 만큼 냉각수를 내보내 에너지 효율이 높다. 

LG유플러스 평촌2센터에 문을 연 차세대 액체냉각 기반 데모룸에서 LG유플러스 직원들이 액체냉각장치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 평촌2센터에 문을 연 차세대 액체냉각 기반 데모룸에서 LG유플러스 직원들이 액체냉각장치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LG유플러스 제공)

LG전자는 10년 이상 국내외 데이터센터에 냉각 설루션을 공급하며 기술 경쟁력을 쌓아왔다. 수랭식 칠러 위주의 사업에서 AIDC로의 변화 흐름에 맞춰 공랭식 프리쿨링 칠러를 개발하는 등 칠러 라인업 다변화를 추진해 왔다. 

이에 더해 액체 냉각 설루션까지 개발해 시장 요구에 대응하며, 다양한 고객 니즈에 대비해 AIDC용 하이브리드 냉각 설루션도 보유하고 있다. 발열이 적은 서버 구역에는 초기 투자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은 공기냉각을, 발열이 많은 서버 구역에는 고발열 부품을 직접 식힐 뿐 아니라 전력사용 효율이 높은 액체 냉각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또 AIDC 구축을 원하는 고객에게 최적의 설루션을 제공하려고 최근 평택 칠러공장에 AIDC 전용 테스트베드인 LG AI 데이터센터 냉난방공조(HVAC) 설루션 연구소를 마련했다. 

LG전자와 삼성전자는 글로벌 HVAC 시장을 두고 경쟁을 벌이고 있다. 전기화, 친환경 트렌드가 가속화하면서 HVAC 시장은 미래 먹거리로 손꼽히고 있다. 글로벌 HVAC 시장 규모는 2028년에 610억달러(약 84조3천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서도 데이터센터는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데이터센터가 2024년 147개에서 2029년 637개로 4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내다본다.

이재성 LG전자 ES사업본부장(부사장)은 “코어테크 기반의 내재된 기술력, 고객 맞춤형 고효율 냉각 설루션, 공조사업 노하우 등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데이터센터 열관리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