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025 지속가능경영보고서’ 홈피 올려
온실가스 배출량도 2030년 목표치에 근접

LG전자가 지난해 국내외 사업장에서 97% 이상의 폐기물 재활용률을 기록해 2030년 목표(95%)를 앞당겨 달성했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총 91만톤(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값)을 배출해 2030년 목표치 87.8만톤에 근접하는 수준까지 줄였다.
LG전자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4∼2025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30일 펴냈다.
LG전자는 2030년까지 2017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54.6%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생산 공정 내 에너지 고효율 설비 도입 및 재생 전력 전환 확대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LG전자 7대 주요제품 사용단계 탄소배출량은 지난 2020년 대비 19.4% 줄었다. 앞서 LG전자는 국내 가전업계 최초로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의 검증을 받아 2030년까지 7대 주요제품 사용단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0년 대비 20% 감축한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LG전자가 지난해 56개 나라 91개 지역에서 회수한 폐전자제품은 총 53만2630톤으로 집계됐다. 2006년부터 누적 회수량은 500만톤을 넘어섰다.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량은 7만4079톤으로 2023년보다 약 36% 증가했다.
제품과 서비스 접근성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LG전자는 성별, 나이, 장애 유무에 상관없이 가전을 손쉽게 사용하도록 돕는 'LG 컴포트 키트'를 14종까지 늘렸으며 장애인 케어, 수어 상담, 시니어 전용 상담 및 매장 내 안전·IT·문화강좌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 중이다.
LG전자는 준법과 윤리경영을 최우선으로 두고 전문성과 독립성, 투명성을 갖춘 이사회를 중심으로 책임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내재화를 위해 이사회 산하 ESG 위원회의 역할을 확대하고 있다.
이런 노력으로 LG전자는 S&P글로벌 '기업 지속가능성 평가'에서 2년 연속 최상위 등급 '톱 1%'에, 글로벌 ESG 평가기관 MSCI의 평가에서는 5년 연속 A등급을 받고 있다. 다우존스 '베스트 인 클래스 월드 인덱스'에는 13년 연속 편입됐다.
LG전자는 2006년부터 매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LG전자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 LG전자 새 글로벌 캠페인 'Radio Optimism', 연인들 메신저로 인기
- LG전자, 美서 'LG 시그니처'로 대용량 세탁가전 시장 장악
- 글로벌 AI 인재 영입 공들인 LG그룹, 국제무대서 성과
- LG전자, 美 뉴욕서 예비부부 10쌍 결혼서약식...'러브 투 런더리'
- LG전자, LGU+ 데이터센터서 액체 냉각 설루션 실증...B2B 시장 겨냥
- LG전자, 해양 생태계 복원 돕는 '마린 글라스'로 신소재 사업 확대
- LG전자, 로지스밸리 ‘등대공장’ 삼아 스마트물류 사업 본격화
- '철강 파생제품 관세' 직격탄...LG전자, 2분기 영업익 반토막
- LG전자, AI 데이터센터 냉난방공조 선점...압축성장 예고
- 조주완 LG전자 CEO "AI 전환 확산 CDO 되겠다"
- 거실이 반 고흐 명화 갤러리로...LG TV, 4천점 담긴 액자 변신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