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옥동·임종룡·빈대인, 내년 3월 임기 만료

임기만료를 앞둔 주요 금융지주 회장들이 좌불안석이다. 금융정책·감독 체계가 4개 기관으로 분리되면서 ‘관치금융’ 리스크 확대가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농협) 가운데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과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내년 3월 임기가 종료된다. 빈대인 BNK금융 회장도 내년 3월 첫 임기를 끝낸다. 이후 KB금융 양종희 회장은 내년 11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이들 모두 초임 회장이므로 연임에 도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신한·KB금융 계열사는 최근 ‘집사게이트’와 관련해 2023년 IMS모빌리티 투자 연루 의혹으로 거론되면서 다가오는 국정감사 질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수사와 감사가 병행될 경우 회장단 연임 논의에도 추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국민의힘 이양수 의원은 2일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금융지주사 인사에 정부와 금융당국이 개입하지 않은 적이 없다”며 “관치금융의 악습을 끊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금융위원장이 개입하지 않더라도 더 높은 선에서 압력이 내려올 수 있다”며 “현재 4대 금융지주 중 세 곳이 회장 임기 만료를 앞둔 상황에서 외부 개입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 후보자는 “시장 원리에 따라 주주와 회사의 지배구조, 승계 시스템에 의해 선임되는 것이 마땅하다”며 “납득할 수 있는 절차를 통해 선발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은행권은 자본정책과 내부통제 과제에서도 압박을 받고 있다. 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관리, 대손충당금 적립, 사모펀드 투자 건전성, 파생상품 규제 강화 등 현안이 산적했기 때문이다. 회장단 교체 과정에서 잡음이 발생할 경우 관치금융 리스크를 눈여겨보는 글로벌 투자자들의 신뢰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가운데 현안을 감시할 금융당국은 더 늘었다. 정부는 7일 금융정책과 감독 권한을 재정경제부와 금융감독위원회,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보호원 등 4개 기관으로 나눴다. 금융소비자와 금융건전성의 세밀한 견제 강화라는 긍정적 효과가 예상되지만 회장 인선이나 지배구조 사안에서 기관 간 권한 충돌과 혼선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 인천 송도서 ‘제41회 신한동해오픈’ 개막…한·일 스타 총출동
- 4대 금융, 영업·내부통제에 AI활용 극대화
- KB금융, HD현대사이트솔루션과 글로벌 협업 업무협약
- 금융지주 ‘뇌관’ 신탁사들의 책임 확대 흐름 본격화
- 금감원 조직개편 계획대로 될까? ... 노조, 조직 분리에 반대 시위
- 신한금융, ‘한·일 금융협력 세미나’ 열어 전환금융 등 논의
- 신한금융, ‘금융소비자보호를 위한 선도 모델’ 제시
-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투자 선구안'으로 이자장사 구조 탈피 노린다
- KB금융 "금융 데이터로 소상공인·지역상권 지원"
- 이억원 금융위원장 취임...금융지주 회장에 '생산적 금융 대전환' 주문
- KB금융, '넥스트 라이콘 어워즈'서 향토기업 응원
- 이찬진 금감원장, 금융지주 회장 선임에 제동걸까?... “참호 구축 보인다” 비판
- 도이치모터스 특혜 대출 의혹,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수협부터 검사 실시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