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HS효성첨단소재·한국타이어와 공동 연구
재활용 철 스크랩 주원료, 차 당 3kg CO2 저감 효과

타이어용 탄소저감 스틸벨트 구조 이미지. (그래픽=현대차·기아 제공)
타이어용 탄소저감 스틸벨트 구조 이미지. (그래픽=현대차·기아 제공)

현대차·기아가 현대제철, HS효성첨단소재, 한국타이어 등과 공동 연구를 통해 성능은 우수하면서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량을 크게 줄인 '탄소 저감 스틸벨트' 개발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글로벌 기업들은 국제 협약 및 각종 규제 등에 따라 원소재 채취부터 제조·수송·운행· 폐기에 이르기까지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탄소 저감 스틸벨트 역시 현대차·기아가 2045년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전  밸류체인에 걸쳐 개발 중인 탄소 배출 저감 기술 중 하나다. 

스틸벨트는 타이어 고무층 내부에 삽입되는 철선 부품으로, 타이어 하중을 지탱하고 비틀림과 변형을 최소화해 주행 안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핵심 부품이다. 운행 중 마모되는 고무와 달리 타이어 수명 내내 일관된 성능을 보장해야 하는 만큼, 엄격한 품질 수준과 높은 강도가 요구된다. 

현대차·기아는 2023년 현대제철, HS효성첨단소재, 한국타이어 등 협력사와 공동 연구 체계를 꾸려 재활용 철 스크랩 소재와 전기로를 활용해, 제조공정에서 탄소배출량을 크게 줄인 스틸벨트를 개발했다.

기존 스틸벨트는 철광석을 고로에 녹여 제작했다. 하지만 탄소 저감 스틸벨트는 철 스크랩 등 재활용 소재를 80% 이상 사용해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2% 줄일 수 있다고 현대차·기아는 설명했다.

이는 차량 1대당 약 3kg(kgCO2-eq·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값) 이상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효과로, 연간 참나무 한 그루가 상쇄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유사한 수준이다. 

탄소 저감 스틸벨트는 또 재활용 소재에 최적화된 특수 열처리 가공 기술을 적용해 최고급 강성을 구현했다. 

현대차그룹은 탄소 저감 스틸벨트가 적용된 타이어를 앞으로 출시할 차량에 순차적으로 장착할 계획이다.

홍승현 현대차·기아 기초소재연구센터 상무는 “탄소 저감 스틸벨트 기술은 한 기업의 혁신을 넘어, 소재부터 완성차까지의 밸류체인을 구성하는 우리나라의 대표 기업들이 ‘지속 가능한 미래’라는 공동의 목표 아래 이뤄낸 기술 협력의 결과물”이라며 “이 기술이 미래 세대를 위한 탄소중립이라는 여정에 의미 있는 이정표가 될 수 있도록 기술의 완성도를 더욱 높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