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뇨스, 해외서 첫 'CEO 인베스터 데이' 열어
"조지아 공장 구금자 다수, 첨단배터리 테스트 중"
통상교섭본부장 "美에 한국 일본 차이 최대 설명"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이 현재 25%가 부과되는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미국 관세율이 한미 무역협상 합의대로 15%로 낮추도록 후속 합의가 빨리 이뤄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 현장에서 300여명의 노동자가 이민 당국에 체포·구금됐다 풀려난 것에 대해서도 전문 기술인력 단기출장에 대한 한미 간 해결책이 나올 것을 기대했다.
무뇨스 사장은 18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맨해튼 '더 셰드'에서 '2025 최고경영자(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어 최근 현안에 대한 입장과 중장기 전략을 밝혔다. 현대차는 이날 처음으로 해외에서 애널리스트와 기관투자자 등을 상대로 한 인베스터 데이 행사를 열었다.
현대차는 이날 올해 연결기준 매출액 성장률 목표를 연초 제시한 3.0∼4.0%에서 5.0∼6.0%로 올려잡았다. 하지만 관세 영향이 반영된 영업이익률 목표는 기존 7.0∼8.0%에서 6.0∼7.0%로 낮췄다.
무뇨스 사장은 이에 대해 "오늘 제공한 실적 가이던스는 25% 관세율을 기준으로 한 것"이라며 "관세율이 15%로 내려온다면 기존 가이던스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근접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정상은 지난 7월 한국산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는 방안을 합의했지만, 3500억달러(약 486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방식 등에 대한 양국 간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25% 관세가 유지되고 있다.
한국보다 먼저 미국과 협상을 타결한 일본은, 5천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결정 주도권을 미국이 행사하고 투자 이익의 90%(투자금 회수 전에는 50%)를 미국에 넘기는 조건에 합의서에 서명한 뒤 지난 16일부터 15%의 자동차 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무뇨스 사장은 조지아 공장 노동자 구금 사건에 대해 "구금됐던 노동자들 중 다수가 현대차 운영을 지원하는 조지아 공장에서 첨단 배터리 생산기술의 최종 보정 및 테스트 작업을 담당하고 있었다"며 "한미가 단기출장, 특히 전문 기술 인력에 대한 상호 유익한 해결책을 도출하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협력업체 직원들이 억류된 것으로 인해 직원들과 가족들이 겪었을 스트레스와 어려움을 이해하며, 그들이 안전하게 한국으로 돌아간 것에 안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현대차는 지난 40년간 미국 사회의 일부였고 조지아주에선 15년 이상 사업을 운영해왔다"며 "조지아주 신규 공장은 조지아 주 역사상 최대 규모의 경제 개발 프로젝트로, 수천 가구에 장기적인 경제적 혜택을 제공하면서 지역 변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대차는 이날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관세 등 복합위기 돌파를 위해 앞으로 5년간 77조3천억원의 투자 계획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2030년 글로벌 판매 목표를 555만대로 제시하고, 이 중 60%에 해당하는 330만대는 전기차(EV)·하이브리드차(HEV) 등 친환경차 판매로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을 방문해 한미 관세 협상 후속 협의를 하고 19일 인천공항으로 귀국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의회 주요 인사들을 만나서 전반적인 협상 상황과 우리 비자 문제 해결을 위해서 협의하고 왔다"며 "(미국 측에) 일본과 한국은 다르다는 부분을 최대한 설명했다"고 말했다.
여 본부장은 자동차 관세와 관련해 "저희도 심각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고 최대한 빨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인 노동자 구금 사태에 대해서는 "미국 측도 이 문제의 심각성을 잘 이해는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비자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고 말했다.
- 美시장서 일본車와 10% 관세 차이, 대미 車수출 하락 속 '설상가상'
- 현대차·LG엔솔 체포 노동자 떠난 현장 정적만..."공장건설 2~3달 지연"
- 현대차·LG엔솔 美 강제구금에 업계 긴장...한미 워킹그룹서 비자 풀까
- 25% 관세 속 현대차·기아 8월 美판매 역대급 실적...각 12%·10%↑
- '구금사태' 美조지아 지사, 현대차 만나려 방한...조지아공장, 미국인 공채
- 현대차·기아, 세계 최고 '탄소저감 스틸벨트' 개발...탄소중립 한 발
- 현대차·기아, 착용로봇 '엑스블 숄더'로 농민 돕는다
- 현대차·기아, 삼성전자 스마트싱스 연동 ‘홈투카’ 서비스 개시
- 美관세 인하 지연시 현대차그룹 8.4조 부담...영업이익률 3.4%p↓
- 한미 관세협상 타결...대미 현금투자 2천억불·年상한 2백억불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