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환경 전 분야 행정 효율성 강화

드론을 활용한 자살예방 시범을 선보이고 있다./사진=인천시청
드론을 활용한 자살예방 시범을 선보이고 있다./사진=인천시청

인천광역시가 드론을 활용한 도시관리체계를 전면 확충하며 재난 대응, 안전관리, 해양환경 관리 등 공공서비스 전반의 효율을 높이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인천시는 올해 국비 20억 원, 시비 17억 9,500만 원 등 총 37억 9,500만 원을 투입해 드론 생태계 기반 확립과 스마트 도시 실현을 추진하고 있다.

인천시는 국토교통부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에 2022년부터 2025년까지 4년 연속 선정되며 드론 활용 행정 분야에서 선도 지자체로 자리잡았다. 올해 사업은 ▲국토부·인천형 드론 실증도시 구축 ▲드론 시험평가 지원 ▲스마트 드론 해양환경 관리 시스템 구축 등으로 구성된다.

‘K-드론 배송 상용화 사업’은 덕적도 등 도서 지역에서 총 126건의 생활물품 배송을 수행하며 주민 편의를 높였다. 또한 덕적면 파래금 해변에서는 드론을 활용한 해양쓰레기 수거 시범사업이 진행돼 환경관리의 새로운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섬 내 우범지역 순찰·응급 대응에도 드론이 활용되면서 안전 서비스 역시 강화됐다.

인천시는 드론도시관리센터를 중심으로 갯벌 고립사고 예방, 연안 안전순찰, 영흥도 행정지도 구축 등 현장형 드론 지원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 5~10월 해루질 고립자 6명 구조 성과를 기록했다. 또한 드론 방역시스템을 활용해 말라리아 매개 모기 방제의 효율성을 높이며 보건 안전 분야에도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인천형 드론 실증도시 구축사업’은 수요기관별 맞춤형 도시관리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안전 분야: 자살위험 교량 4곳 드론 순찰 시스템 구축 또한 F1 그랑프리 유치 홍보용 3D 항공영상 제작 등 도시 홍보 콘텐츠 제작에도 활용되고 있다.

드론·위성·소나 데이터 결합 기반의 ‘스마트 해양환경 관리 시스템’은 2024년 자월도·승봉도에서 실증을 시작했으며, 2025년 대이작도·소이작도 등 9개 도서로 확대될 예정이다. AI 기반 해양쓰레기 분포 분석을 통해 최적의 수거 경로 도출 및 비용 효율 개선이 기대된다.

인천시는 드론 산업 저변 확장을 위해 마케팅·지식재산권·시험인증·시제품 제작 등 7개 분야 바우처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 기업 기술 자립 및 산업 연계 생태계를 강화하고 있다.

2026년부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총 25억 원 규모 ‘스마트 해양빌리지’ 사업을 추진한다. 도서지역 쓰레기, 안전, 생활 불편을 디지털 기반 기술로 해결하는 통합형 모델이다.

박광근 인천시 해양항공국장은 “드론 기술은 시민 안전과 삶의 질을 높이는 핵심 수단”이라며 “드론을 인천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우고, 스마트 도시 행정서비스를 더욱 고도화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