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인천광역시가 기후·경제·문화·평화 등 다양한 국제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글로벌 도시로서의 위상을 강화했다. 인천시는 올 한 해 동안 총 18개의 국제행사를 개최하며 세계 도시 간 협력과 교류의 중심에 섰다고 9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국제행사는 기후변화 대응, 글로벌 산업 협력, 시민 문화교류, 도시 안전과 평화 증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됐으며, 각 행사마다 인천이 추진하는 지속가능성과 국제 연대의 비전이 강조됐다.
인천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적 논의의 중심에 섰다. 9월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제12회 국제기후 금융·산업 콘퍼런스’에서는 녹색기후기금(GCF)과 세계은행, 유엔 기구 관계자들이 참석해 ‘정의로운 전환과 회복력 강화’를 주제로 산업 전환 전략을 논의했다.
이어 ‘제5회 저탄소도시 국제포럼’, ‘인천국제 환경기술컨펙스’, ‘국제 친환경 플라스틱 콘퍼런스’ 등 환경 관련 국제행사가 잇달아 열리며 인천은 아시아 환경 협력의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환경기술컨펙스가 ‘글로벌 K-컨벤션 육성사업’에 선정돼 향후 6년간 국비 지원이 확정되면서 친환경 미래도시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했다.
경제 분야에서도 성과가 이어졌다. 9월 인천에서 열린 ‘2025 아시아 생명공학 대회 및 한국생물공학회 국제회의’에는 40여 개국에서 3,000여 명의 연구자가 참여해 글로벌 바이오산업 발전방안을 논의했다.
또한 ‘세계한인경제인대회 및 K-Business Expo Incheon’에는 74개국 1,500명의 재외경제인이 방문해 투자·교류 협력 네트워크를 공고히 했다. 한중 경제협력 플랫폼인 ‘인차이나포럼’과 21개국이 참여한 ‘APEC 인천회의’ 개최 역시 인천의 국제행사 운영력과 산업 인프라 경쟁력을 확인한 사례로 평가된다.
9월 송도에서 열린 ‘국제평화안보포럼 인천’에서는 6·25 참전국 대표단과 청년들이 ‘평화 연대 선언’을 발표하며 국제 협력 메시지를 발신했다. 같은 달 개최된 ‘국제재난복원력 지도자 포럼’에서는 UNDRR 등 20개국 전문가들이 도시 안전과 복원력 대응체계를 논의했다.
또한 ‘제21차 아시아건축사대회’에는 24개국 대표단과 국내외 전문가 7천여 명이 참여해 지속가능 건축과 도시 설계의 미래 방향을 제시했다. ‘국제치안산업대전’에서는 AI·로봇 기반 첨단 치안기술이 공개되며 스마트안전도시 인천의 위상도 부각됐다.
문화 행사도 활발했다. 인천상륙작전 75주년을 기념한 ‘인천국제합창대회’에는 34개 합창단, 2,000여 명이 참여해 국제 합창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인천국제하프마라톤대회’에는 5개국 15,000명의 참가자가 참여하며 도시 공동체와 시민참여형 축제의 확산 기반을 마련했다.
인천은 올해 국제적으로도 성과를 인정받았다. 10월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열린 유엔 세계도시의 날 기념행사에서 국내 최초로 ‘2025 유엔 글로벌 지속가능발전 도시상(Shanghai Award)’을 수상했다.
심사에서는 GCF 유치, 2045 탄소중립 비전, 시민참여형 스마트시티 추진 등이 높이 평가된 것으로 알려졌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올해는 인천이 국제무대의 중심으로 확실하게 자리 잡은 해였다”라며 “세계가 모이는 도시에서 세계가 인정하는 도시로 더욱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