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에 이런 훌륭한 지도자가 있으면 국민이 얼마나 행복할까요? 애민(愛民)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애민(愛民)’은 말 그대로 백성을 사랑한다는 뜻이지요. 왕조시대(王朝時代)의 왕은 모든 백성을 자식으로 생각하고, 부모로서 자식을 사랑하지 않은 사람이 없듯이 왕은 당연히 백성을 사랑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역사상 우리나라 왕 중, 제대로 애민 정책을 실행한 왕은 거의 없습니다. 영조(英祖) 정조(正祖)를 꼽을 수도 있겠지만, 세종대왕(世宗大王)에 비하면 새 발의 피이지요. 그야말로 세종대왕은 세계 역사 속에서도 드문 인물입니다.
세종대왕의 애민 정책은 ‘생명 존중’과 ‘사회적 약자를 보호’한다는 것이, 핵심이었습니다. 세종은 노비(奴婢), 노인, 여성, 아이 등, 사회적 약자를 정책에 최우선으로 두었지요. 또한 이들의 삶의 질 향상은 임금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의무로 생각했습니다.
세종은 지금의 시각으로 보아도 파격적인 노비 출산 휴가 정책을, 실시했습니다. ‘여 종이 아이를 낳으면 노비 남편에게도 30 일의 휴가를 주어라.’(세종실록’ 1434년, 세종 16년 4월 26일), 당시 노비 출산 휴가는 1주일이었습니다.
세종은 산후조리를 하는데 1주일은 충분치 않다며 노비들의 출산 휴가를 100 일로 늘리도록 했습니다. 또한 산모 혼자 있으면 그 산모를 누가 돌보겠느냐며 산모의 남편도 30 일간 각종 부역을 면제하여 돌보게 하였지요.
세종의 노인 공경 정책도 본받을 만합니다. ‘나이 많은 사람을 존경해야 효도에 대한 풍속이 두터워진다.’(세종실록’ 1435년, 세종 17년 6월 21일), 세종은 90 세가 된 1 천 노인에게 쌀 2석(약 288kg) 하사하고, 80세 이상의 노인은 신분과 관계없이 양로연(養老宴) 참석을 가능하게 했지요.
세종은 여성 건강 문제에도 각별하게 신경을 써, 여자 환자들이 남자 의사의 진찰을 꺼려 병이 악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전국적으로 의녀제도(醫女制度)를 확대하도록 지시했습니다. ‘지역 별로 여성 관리를 선발해 제생원(濟生院 : 의료기관)에서 가르친 후 부녀자를 치료하게 하라.’ (세종실록, 1423년, 세종 5년 12월 4일).
그리고 세종은 버려진 아이들의 입양을 자유로이 허락하고, 아이를 버린 자를 찾아 고발하면 포상하게 했습니다. ‘아이들의 겨울철 먹을 것 넉넉히 주고, 제생원에서 항상 관찰하게 하라.’ (세종실록, 1435년, 세종 17년 6월 22일)
또한 세종은 장애인들도 소홀하지 않았습니다. 장애인을 위한 전문 직업까지 창출하여, 일시적이 아닌 원천적으로 장애인복지정책을 실행했습니다. 시각장애인 단체에는 노비와 쌀 등을, 적극 지원 하게 했지요. ‘관 현 악기를 다루는 시각장애인 중, 천인(賤人)인 자는 재주를 시험하여 채용하라.’(세종실록, 1434년, 세종 16년 11월 24일)
또 세종의 애민의 세심함은 혼인 지원 정책에서도 보입니다. ‘가난하여 시기를 놓쳐 혼인하지 못한 사람은, 친족에게 함께 결혼 준비를 하게 하고, 곤궁함이 더욱 심한 자에게는 관청에서 곡식을 주도록 하라.’(세종실록, 1435년, 세종 17년 9월 29일)
세종의 애민은 범죄자들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세종은 지금으로 말하면 삼심제인 삼복제(三覆制)를 시행하여 비록 사형수라 하여도 억울한 죽음이 없게 하였지요. ‘사형에 해당하는 죄는 세 차례에 걸쳐 정확히 조사해 아뢰게 하여라. 이는 사람 목숨을 소중히 여겨 혹시 잘못된 것이, 있을까 염려하는 까닭이다.’ (세종실록, 1421년, 세종 3년 12월 22일)
세종은 지금 봐도 놀라운 정책인 국민투표까지, 실시했습니다. 세종은 토지 법 제정을 앞두고 전국적으로 관리를 파견하여, 약 5개월에 걸친 국민투표로 민심을 파악했습니다.
세종은 관리 등용에도 애민 정책을, 실시했습니다. 세종은 기우제만이 해결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천민 출신이지만 과학에 뛰어난 장영실을 신하들 반대를 무릅쓰고 등용했습니다. 장영실은 이런 세종의 뜻에 따라서 ‘자격루’와 ‘측우기’를 만들었지요.
세종은 천민이라 하더라도 하늘의 백성으로서 다 똑같다는 이야기를 자주 했습니다. 비록 천민이라도 인재로 쓰는 인사 정책에서, 세종의 인간 존중 사상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세종의 애민 정책의 결정판은 훈민정음 창제입니다. 한자(漢字) 만을 읽고 쓰던 조선의 지배 층인 양반들은, 백성들이 글을 읽을 수 있게 되면 지식이 깊어지고, 힘이 커질 것을 두려워해 백성들이 글을 읽을 수 있게 되는 것을 원치 않았습니다.
하지만 세종은 백성 처지에서 모든 백성이 글을 읽고 쓰는데, 어려움이 없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한글을 창제하고 반포를 하게 되어, 백성들도 문자 생활이 가능하게 된 것이지요. 이처럼 재위 32년 동안, 세종이 꿈꿔온 목표는 모든 백성이 행복하게 사는 것이었습니다.
어떻습니까? 세종대왕이 그립지 않으십니까? 지금 우리나라는 국태민안(國泰民安)하고는 거리가 먼 것 같습니다. 우리 대통령이 공포 정치, 고집불통 정치, 검사(檢事) 정치를 과감히 버리고, 협치(協治)와 애민 정치하시기를 간절히 원해 보네요!
단기 4356년, 불기 2567년, 서기 2023년, 원기 108년 7월 7일
덕산 김덕권(길호) 합장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