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마이크로 "블랙웰 탑재 AI 서버 대량생산"
구글·MS·메타도 대규모 AI 투자계획 밝혀
엔비디아발 훈풍 국내 증시 덥힐까
딥시크 충격파로 급락했던 인공지능(AI) 칩 제조 선도기업 엔비디아의 주가가 5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증시에서 5.35% 상승하며 120달러선을 회복해 시가총액도 3조달러선을 넘어섰다.

이는 첨단 기술이 반영된 고가의 AI 칩 블랙웰 수요가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의 등장에도 꺾이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엔비디아 주가는 지난달 27일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무료 공개한 AI 모델 V3·R1의 충격 속에 17% 폭락하는 등 그동안 약세 흐름을 보였다.
한데 이날 엔비디아의 주요 공급사인 슈퍼마이크로컴퓨터가 "블랙웰 칩을 탑재한 새로운 AI 데이터센터용 서버를 대량 생산·공급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혀 주가 흐름을 바꿔놓았다.
이보다 앞서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올해 AI에 대한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힌 것도 엔비디아 실적 전망을 바꿔놓는 데 일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4일(현지시각) 실적을 발표한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올해 AI 인프라 등에 약 750억 달러(109조원)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시장 추정치인 597억 3천만 달러를 25% 상회하는 수치다.
마이크로소프트(MS)도 지난해보다 60% 늘어난 800억 달러를 AI 분야에 투자하고,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도 650억 달러를 AI 분야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글과 MS, 메타는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을 대규모로 매입하는 주요 고객이다.

AI 대장주 엔비디아발 훈풍은 국내 증시에도 영향을 미쳤다.
엔비디아에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공급하는 SK하이닉스 주가도 6일까지 3거래일 연속 오름세를 보여 20만원선을 회복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