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역대 실적 낸 KAI는 주춤
UAE 천궁Ⅱ 수출 한화는 매출 2.8조원
폴란드 전차 수출 현대로템 4조원대 매출
수주잔고 24조6994억원 KAI 올해 공격적
유럽과 중동에서 포성이 이어진 지난해 우리나라 방산 기업들은 수출 증가에 힘입어 역대 최대의 실적을 기록했다. 방산 빅4 중 한화시스템과 현대로템은 나란히 창사 뒤 최대 매출·영업이익을 발표했다. 다만 2023년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한 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해 매출이 다소 줄었다.

한화시스템은 지난해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2천193억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78.9% 증가했다고 7일 공시했다. 매출은 2조8천37억원으로 전년보다 14.3% 늘어났고, 당기순이익은 4천452억원으로 29.8% 증가했다.
지난해 방산 부문에서 아랍에미리트(UAE) 천궁-II 다기능 레이다(MFR)와 폴란드 K2 사격통제시스템 등 수출이 매출을 견인했다. 우리 군의 핵심 통신시스템인 전술정보통신체계(TICN) 4차 양산 및 차세대 군용 무전기(TMMR) 2차 양산 등 대형 사업도 실적을 이끌었다.

한화시스템은 올해도 한국형 전투기 KF-21 AESA 레이다 최초 양산, 기존 UAE 및 사우디아라비아 천궁-II MFR 수출 등을 바탕으로 실적을 보다 견고히 다져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철도차량 및 방위산업 업체 현대로템은 창사 이래 처음으로 연간 4조원대 매출액을 달성했다고 6일 공시했다.

연결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은 4천556억원으로 전년 대비 117.4% 증가했다. 매출은 4조3천766억원으로 22% 증가했다.
정동익 KB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지난해 4분기 실적은 일회성 비용과 이익을 제거한 수정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75% 이상 웃도는 어닝 서프라이즈였다"며 "방산 수출 물량의 납품 일정을 고려하면 폴란드 2차 수주와 무관하게 올해 상반기에도 30%대 영업이익률이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KAI는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이 2천407억원으로 전년보다 2.8%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7일 공시했다.
매출은 3조6천337억원으로 전년 대비 4.9% 감소했다. 순이익은 1천709억원으로 22.8% 줄었다.
4분기 영업이익이 421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72.7%나 줄었다. 이 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1조948억원과 124억원이었다. 이는 시장 전망치를 20% 이상 밑돈 것이다.
지난해 사업 부문별 매출은 국내 사업 2조1천68억원, 완제기 수출 6천404억원, 기체 부품 8천511억원이었다.

작년 수주액은 4조9천22억원으로 전년보다 5.73% 증가했다.
국내 사업에서 KF-21 최초 양산, KF-21 PBL, 해경 헬기, 산림청 헬기 3차 등으로 가장 많은 2조1천393억원의 수주를 달성했다.
B737 MAX 미익 등 기체 부품 수주액은 2조5천848억원, 수리온 이라크 수출 등 완제기 수출 수주액은 1천781억원이었다.
2024년 말 기준 수주 잔고가 24조6천994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2조9천억원 늘었다.
강구영 사장은 "지난해는 미래 사업을 본격 착수하고 기체 구조물 사업의 수주 다변화와 수리온 첫 수출을 달성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인정받은 한 해였다"며 "2025년에는 국내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공격적 수출 시장 개척을 통해 KAI 성공 DNA를 증명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