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핵추진 잠수함 연료 공급 결단” 요청에 화답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드텀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열린 환영식에서 사진 촬영에 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드텀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열린 환영식에서 사진 촬영에 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한국시각) 자신의 SNS를 통해 한화 필리조선소에서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한화오션 등 관련업체의 발걸음도 빨라질 전망이다.

경주 APEC 정상회의 참석차 한국을 방문 중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한미군사동맹은 어느 때보다도 강력하다"며 "그것에 기반해 나는 한국이 현재 보유한 구식이고 기동성이 떨어지는 디젤 잠수함 대신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고 적었다. 

이어 “한국이 필라델피아 조선소에서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할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조선업은 곧 크게 돌아올 것이다. 계속 지켜봐달라”고 했다.

전날 경주에서 진행된 한미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핵추진 잠수함의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결단해달라"고 요청한 데 대한 화답으로 보인다.

트럼프의 이번 메시지는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을 한화가 앞서 인수한 미국 필라델피아 조선소에서 건조토록 하겠단 뜻으로 읽힌다. 

이를 통해 침체된 미국의 조선업 역량을 끌어올리겠단 의지를 재차 내비친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조선소 노후화 및 도크 부족 등으로 선박 수리와 신규 건조에 난항을 겪고 있는 미국은 자국 조선소에 대한 투자를 유도하고 있다. 

한화 필리조선소는 한미 조선협력(MASGA)의 핵심 기반이다. 한화는 지난 8월 필리조선소에 50억달러(7조원)를 추가 투자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 대통령과 트럼트 대통령이 언급한 핵추진 잠수함은 핵무기를 싣는 전략핵잠수함(SSBN)이 아닌 원자력 추진 잠수함(SSN)을 의미한다.

한미 양국은 잠수함 추진 연료로 저농축 우라늄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한 추가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다. 

한화의 미국 해양방산 영역 진출에 있어 핵심 계열사인 한화오션 측은 함정 설계 및 생산 등 관련 대비에 나설 것으로 조선업계는 보고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