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몬 600억원, 위메프 400억원 규모 미정산금
여행업계, 재결제해야만 정상 여행 출발 방침
대통령실 “상황 예의 주시… 피해 줄이도록 노력”
공정거래위원장 “미정산은 민사상 채무 불이행”

[서울=뉴스프리존]위아람 기자=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여행사, 배달앱 등으로 파장이 번지고 있다. 또 티몬·위메프에 거액의 판매대금을 정산받지 못한 소상공인 등이 자금난으로 도산해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25일 새벽 위메프 본사에서 환불 요청서 작성하는 고객들 (사진=연합뉴스)
25일 새벽 위메프 본사에서 환불 요청서 작성하는 고객들 (사진=연합뉴스)

2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티몬·위메프 등 큐텐 계열 플랫폼에 입점한 6만 곳 가운데 상당수가 중소 판매자다. 일부 판매자는 수십억원까지 판매 대금을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류화현 위메프 공동대표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소비자 피해는 충분히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자금을 갖고 있다. 소비자 피해가 없도록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류 대표는 24일 저녁부터 위메프 본사에 찾아온 수백명의 고객들에게 사과하며 현장 환불 조치에 나섰다.

류 대표에 따르면 지난주까지 위메프 정산 지연금은 400억원, 티몬은 600억원 정도다. 티몬 미정산 피해자들이 티몬 본사에 방문했으나 현장 대응에 나서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티몬·위메프에서 결제·취소를 대행하는 주요 PG사들은 24일일부터 기존 결제 취소 건에 한도를 설정하고 신규 결제는 차단하고 있다. 티몬·위메프와 계약을 맺고 있는 PG사는 KCP, 토스페이먼츠, KG이니시스 등으로 카드결제·취소, 무통장 입금을 맡고 있다. 카카오페이 등 간편 결제 사업자 역시 같은 조치를 내렸다.

이러한 조치 때문에 현재 소비자가 티몬·위메프에서 주문 상품 결제 취소를 선택하면 ‘실패’라고 뜬다. 또 신규 구매 역시 막히면서 티몬·위메프는 오픈마켓으로서 기능을 완전히 상실했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음식배달 앱 요기요는 지난 24일 티몬에 등록된 일부 상품권 사용이 중지되자 큐텐에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을 촉구했다. 요기요는 입장문을 통해 “문제가 된 상품권은 큐텐의 온라인 쇼핑몰 티몬을 통해 판매된 요기요 상품권”이며 “티몬이 판매대금에 대한 정산금 지급을 하지 않으면서 판매대행사가 사전 협의 없이 임의로 해당 상품권의 사용을 중지했다”고 밝혔다.

여행사들은 소비자들이 티몬·위메프에 대한 기존 결제 취소·환불 신청 후 자사를 통해 재결제해야만 해외여행을 출발할 수 있다는 방침을 정했다. 참좋은여행은 24일부터 출발하는 해외여행 상품부터 재결제해야 정상 출발할 수 있도록 했다. 교원투어는 오는 28일 출국하는 상품까지만 정상적으로 진행하고 이후 출발 상품에 대해서는 자사에 재결제한 경우에만 여행 일정을 정상적으로 운영한다.

모두투어와 노랑풍선도 7월 출발 여행상품은 정상적으로 진행하지만 8월에 출발하는 상품은 재결제를 해야 한다. 하나투어도 임박한 날짜는 정상 출발하고 구체적인 대응 방법은 향후 결정하기로 했다.

대통령실은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소비자와 판매자 피해가 커지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24일 밝혔다. 이어 “현재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 당국에서 신속히 상황을 파악하고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 (사진=연합뉴스)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 (사진=연합뉴스)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은 24일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소비자 피해 문제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작했다”며 “미정산 문제는 민사상 채무 불이행 문제라 공정거래법으로 직접 의결이 어렵다”고 말했다.

재무상황이 좋지 않은 큐텐의 위메프 인수를 공정위가 승인한 것에 대해서는 “기업결합과 관련된 것은 경쟁 제한성 위주로 심시한다”며 “당시 경쟁 제한 관련 특별한 이슈가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싱가포르에 머물던 구영배 큐텐 대표는 급히 국내로 귀국해 티몬·위메프 대표 등 경영진을 만나 해결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