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프·티몬 사옥, 환불 고객 장사진
중기부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급 추진
카드업계, 이의제기시 결제 취소 진행
주요 여행사, 티몬·위메프와 계약 해지
[서울=뉴스프리존]위아람 기자= 티몬·위메프 사태가 확산되면서 고객들 불편이 커지고 있다.

위메프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 본사 건물에서 고객 2000명 이상의 환불 절차를 끝낸 후 26일 오전부터 현장 접수를 중지했다. 이에 기다리던 100여명의 고객들이 항의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날 서울 강남구 신사동 티몬 사옥에도 환불을 받으려는 고객들이 몰려들어 일대 혼란이 빚어졌다. 이에 오후 1시쯤 티몬 사옥 앞에 기동순찰대 150명, 경찰 100명, 소방서 인력 30명, 강남구청 지원인력 10여명 등이 투입되기도 했다.
지난 2월 큐텐이 인수한 전자상거래 플랫폼 위시에서도 환불이 안 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태가 악화되자 정부와 관련 업계가 수습에 나섰다.
정부는 피해 소상공인들에 대한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급을 검토하고 있다. 중소기업벤처부는 대통령실의 지시에 따라 이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26일 밝혔다. 중기부는 우선 티몬·위메프와 거래를 해온 소상공인들이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급 대상이 될 수 있는지를 전반적으로 점검한다.
그간 긴급 경영안정자금은 소상공인이 재해 피해를 보거나 지역경제 위기, 감염병 등으로 영업에 차질이 생길 경우 대출을 통해 이뤄졌다.

한국소비자원은 티몬·위메프에 여행·숙박·항공권 환불을 요구하는 피해 고객부터 집단분쟁 조정 참여 신청을 받는다고 26일 밝혔다.
소비자원은 시스템 구축 후 다음 달 1일부터 9일까지 홈페이지(www.kca.go.kr)에서 여행·숙박·항공권 관련 피해를 접수하며 소비재 등 다른 상품으로 확대할지도 검토한다.
대통령실은 26일 “현재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을 중심으로 관계 부처가 긴밀하게 회의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다”며 “합동으로 현장 상황을 점검하거나 소비자·판매자 피해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도 이번 사태와 관련해 정부의 신속한 조치를 주문했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정부의 합동현장점검 조사와 전담 대응팀 운영에도 여전히 소비자들과 입점 업주들의 추가 피해 우려가 큰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소비자 피해구제와 판매자 보호를 위한 조치가 신속히 이뤄지도록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가동해달라”고 말했다.
전은수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티몬·위메프 사태는 아무 규제받지 않고 거대해지기만 한 플랫폼 시장을 방치한 정부의 책임”이며 “최악의 경우 판매자, 결제 대행사, 상품권 업체들의 연쇄 도산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국민들께 사과한 만큼 소비자와 판매자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적극 조치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카드업계에서는 소비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결제 승인 취소를 지원하기로 했다. 앞서 결제대행(PG) 업체들이 거래를 중단하는 바람에 신용카드 결제와 이미 결제한 건에 대한 최소가 중단됐었다.
소비자가 티몬·위메프에 물품 대금을 결제했는데도 수령하지 못한 경우 카드사에 ‘신용카드 이용대금 이의제기’를 신청할 수 있다. 카드사는 이의제기를 접수하는 대로 취소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결제 취소를 진행한다.
주요 여행사는 티몬·위메프와 계약을 해지하기로 했다. 대형 여행사는 여행 출발 날짜가 임박한 예약 건에 대해서는 일정대로 진행하되 다음달 이후부터 진행하는 예약에 대해서는 취소할 방침이다. 위약금은 고객에게는 물리지 않는다.
티몬·위메프 측에서는 고객 환불부터 진행하고 이후 소상공인·영세사업자들의 판매대금을 지급해 나간다는 방침을 세웠다. 하지만 실제로 확보해둔 자금이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없다는 점에서 큐텐 그룹 구영배 대표가 사재를 털어서라도 책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