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시진핑 통화는 아직
중 관세 부과 10일부터 발효
중국이 4일 미국 트럼프 신정부의 추가 관세 부과에 따라 즉각 미국산 에너지 제품 등에 대해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이날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선 지도자들과 통화한 뒤 관세부과를 미뤘고 중국에 대해서도 시진핑 국가주석과 통화를 할 것이라고 밝혀 협상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진전이 없었다고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이 전했다.
중국 국무원은 미국시간으로 4일 0시를 지나 미 정부의 10% 추가 관세 부과 조치가 발효되자 즉시 미국산 석탄과 액화천연가스(LNG)에 15%의 관세를 더 물리고 원유와 농기계, 대배기량 자동차와 픽업트럭에 10%의 관세를 추가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텅스텐과 몰리브덴 등 광물에 대해 수출 통제 조치를 하고 미국 기업인 구글에 대해 반독점 위반 혐의 조사도 시작하기로 했다. 중국 정부는 이와 함께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에 대해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중국 국무원은 이런 조치를 발표하면서 발효 시한을 오는 10일로 발표해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 백악관의 캐럴라인 리빗 대변인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언제 통화할 지에 대해 당초 24시간 이내라고 했다가 "며칠 안에 이뤄질 것"이라고 수정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때였던 2018년에 중국산 제품들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했고 중국도 미국산 제품에 같은 비율의 관세를 매기며 맞섰다.
양국간 무역 전쟁은 2020년 1월 '1단계 무역 합의'가 이뤄지면서 봉합됐다. 당시 합의 내용은 중국의 미국산 제품 구매 확대(2000억달러 규모)를 비롯해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와 기술이전 금지, 추가 관세 부과 중단 및 일부 철회 등이었다. 이로써 긴장은 다소 완화됐지만 미중간 근본적 갈등은 해소되지 않고 바이든 정부로 이어졌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