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부터 美 샌타클래라서 '글로벌 포럼'
현지 인재 초청해 HBM 등 핵심부품 전시
곽노정 CEO, 기조연설서 AI 시대 비전 제시

SK하이닉스 곽노정 대표이사 사장(CEO)과 경영진이 미국 실리콘밸리로 총출동해 인공지능(AI) 메모리 개발·공급자로서의 비전을 함께 실현할 글로벌 AI 인재 영입에 나선다.
SK하이닉스는 30일(현지시각)부터 다음 달 1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래라에서 ‘2025 SK글로벌 포럼’을 연다고 29일 밝혔다. 샌타클래라 지역은 엔비디아, 인텔, AMD 등 다수의 대형 IT 기업이 있어 전 세계에서 유능한 개발자와 엔지니어가 몰려드는 실리콘밸리의 한 축이다.
SK하이닉스는 미국 내 인재들을 초청해 회사의 성장 전략을 공유하고 최신 기술과 글로벌 시장 동향을 논의하는 이 포럼을 현지 우수 인재를 발굴하는 기회로 활용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AI 메모리 생태계를 전방위로 확장하기 위해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역량을 강화할 시점"이라며 "이 분야에서 전문성을 가진 인재들과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올해 포럼에 시스템 아키텍처 세션을 신설했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는 이전 포럼과 달리 초청 인재들이 SK하이닉스의 기술력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핵심 제품을 전시하는 공간을 배치했다.
이 공간에는 고대역폭 메모리(HBM)와 고용량 eSSD, LPCAMM2 등 AI 데이터센터와 온디바이스 AI 설루션 첨단 제품들이 선보인다. SK하이닉스가 그간 쌓아온 기술 리더십과 혁신 과정을 소개하는 연혁 게시물도 자리를 잡았다.
지난해에 이어 이번 포럼에도 곽노정 CEO와 김주선 AI 인프라 사장(CMO), 안현 개발총괄 사장(CDO), 차선용 미래기술연구원장(CTO) 등 C레벨(Chief·최고) 경영진이 대거 참석해 초청 인재들과 직접 소통한다.
곽 CEO는 개막 기조연설을 통해 AI 시대에 대응하는 SK하이닉스의 비전과 전략을 제시한다. 안 CDO는 차세대 메모리 기술과 제품 개발 로드맵을 소개할 예정이다.
신상규 SK하이닉스 부사장(기업문화 담당)은 "글로벌 포럼을 통해 꾸준히 우수 인재를 영입하면서 회사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해 왔다"며 "AI 시대를 이끌어갈 인재 확보 노력을 지속해 SK하이닉스의 르네상스 여정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 SK하이닉스, 세계 최고층 321단 낸드 기반 UFS 4.1 개발
- 4월 반도체 수출 17% 급증...고부가 HBM 성장세가 '중국 리스크' 메워
-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 "협력사와 '원팀 파트너십'으로 함께 성장할 것"
- 'HBM 리더' SK하이닉스, 2개 분기 연속 영업익 삼성전자 앞질러
- SK하이닉스, CXL 기반 DDR5 고객 인증...'데이터센터 메모리' 혁신 선도
- 역대급 실적 SK하이닉스 노사 임협 개시...역대급 인상 이룰까
- 33년 글로벌 1위 '삼성신화' 멈춘 SK하이닉스, HBM4로 독주 노려
- SK하이닉스 "반도체 호황 속 하반기 변동성 커...'성과급 룰' 모색"
- 최태원 등 SK 경영진, '경영의 기본기'로 신뢰위기 극복
- 손윤익 SK하이닉스 팀장, '대한민국 엔지니어'로 뽑혀
- 이재명 대통령 'AI 3대 강국' 행보..."SK·아마존 시작, 글로벌 협력 기대"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