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 함께해 AI 산업 힘 싣기
최태원 "AI 정부화로 5조원 시장 창출…정부가 수요자"

이재명 대통령(가운데)이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울산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 출범식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출범 버튼을 누른 뒤 박수치고 있다. 왼쪽부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 대통령, 프라사드 칼야나라만 아마존웹서비스(AWS) 인프라 총괄 대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두겸 울산광역시장.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가운데)이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울산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 출범식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출범 버튼을 누른 뒤 박수치고 있다. 왼쪽부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 대통령, 프라사드 칼야나라만 아마존웹서비스(AWS) 인프라 총괄 대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두겸 울산광역시장.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울산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출범식에 기업인들과 함께하면서 대선 후보 시절부터 공약했던 'AI 3대 강국' 달성을 향한 발걸음에 힘을 실었다.

SK그룹과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수조원을 공동으로 투자해 울산광역시 미포 국가산업단지에 100MW(메가와트) 규모로 구축할 AI 전용 데이터센터 출범식이 이날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이 자리엔 최태원 SK 회장과 프라사드 칼야나라만 AWS 인프라 총괄 대표를 비롯해 정신아 카카오 대표, 이준희 삼성SDS 사장, 배경훈 LG AI연구원 원장, 서범석 루닛 대표, 백준호 퓨리오사AI대표, 조준희 한국AI·SW 협회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등 기업인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격려사를 통해 "오늘 아시아·태평양 지역 AI 허브 대한민국, 글로벌 3대 강국을 향한 힘찬 첫걸음을 내딛는다"며 "이번 데이터 센터는 우리 산업의 역사에 매우 의미 있는 이정표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식에서 기업인들과 함께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울산 AI 데이터센터 출범식에서 기업인들과 함께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어 "빠르게 성장하는 SK 등 한국 기업의 AI 기술, 여기에 아마존의 통 큰 투자가 만나 이뤄진 크나큰 성취"라며 "치열해지는 글로벌 AI 경쟁 속에서 SK와 아마존이 만들어내는 성공모델을 시작으로 우리 기업과 글로벌 기업의 협력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울산의 든든한 제조 인프라 위에 지방정부의 전폭적 노력이 더해진 AI 데이터센터가 국가균형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경부고속도로가 대한민국 산업화 성공을 이끌었던 것처럼 AI 데이터 센터 건설을 시작으로 과감한 세제 혜택, 규제혁신을 통해 민간의 투자를 촉진하고 대한민국 AI 대전환의 성공을 이끌 AI 시대의 고속도로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출범식에 앞서 이 대통령은 'AI 글로벌 협력 기업 간담회'를 열어 기업인들과 대화를 나눴다. 

이 대통령은 최태원 SK 회장, 정신아 카카오 대표 등 참석 기업인들에게 "회장님 애썼다", "뛰어난 능력으로 우리 대한민국 산업경제를 이끌어주고 계신다" 등의 덕담을 건넸다.

이어 머리발언을 통해 "대한민국이 지금까지 고속 성장을 했는데, 지금 시중에서 쓰는 말로 깔딱고개를 넘는 중"이라며 "우리 국민의 위대한 저력으로 위기를 이겨내고 새로운 세상을 맞이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앞줄 오른쪽)이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AI 제품·서비스 시연 행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에게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태원 SK그룹 회장(앞줄 오른쪽)이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AI 제품·서비스 시연 행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에게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에 최 회장은 "정부의 지원 가운데 가장 요긴한 것이 바로 정부의 각 부처가 사용할 AI 앱을 발주하는 것"이라며 "현재의 정부가 'AI 정부화'가 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혁신을 통해 공공 수요가 상당히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5년간 5조원의 시장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이밖에도 AI 원스톱 바우처 사업,  AI 국가인재 양성을 위한 초중고 AI 필수과목화, 울산AI 특구 조성 등을 건의했다.

이날 행사에는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 류덕현 재정기획보좌관 등 대통령실 경제라인이 총출동했다.

이 대통령이 취임 뒤 첫 산업현장 방문지로 AI 데이터센터를 선택해, AI 산업 육성을 최우선 국정과제 중 하나로 삼겠다는 의지를 공개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