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TSP+ 14개·TSP 1개 차종 뽑혀 15개 선정
글로벌 자동차그룹 기준 2년 연속 가장 많은 차종

현대차 아반떼가 달리고 있다.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 아반떼가 달리고 있다.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이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가 발표한 충돌평가에서 현대차 아반떼(현지명 엘란트라)와 쏘나타, 기아 K4 등 3개 차종이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SP+)' 등급에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이로써 올해 현대차그룹이 TSP 이상 등급을 받은 차종은 현대차 7개, 제네시스 5개, 기아 3개 등 총 15개(TSP+ 14개·TSP 1개 차종)에 달한다. 2위 마쯔다(8개)와 3위 혼다(7개)보다 두 배에 가까운 개수로 글로벌 자동차그룹 중 1위를 차지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에도 현대차 9개, 제네시스 8개, 기아 5개 등 22개의 차종이 TSP+ 또는 TSP를 받아 글로벌 자동차 그룹 중 가장 많은 차종이 선정됐다. 

지난 3월 IIHS는 아이오닉 5, 아이오닉 6, 코나, 투싼, 싼타페 등 현대차 5개 차종과 GV60, GV70, GV70 전동화 모델, GV80 등 제네시스 4개 차종, EV9, 텔루라이드 등 기아 2개 차종을 TSP+ 등급에 선정했다. 제네시스 G90은 TSP 등급에 선정됐다.

(표=현대차그룹 제공)
(표=현대차그룹 제공)

IIHS는 1959년 설립된 비영리단체로, 해마다 미국 시장에 출시된 차량을 대상으로 충돌 안전성과 충돌 예방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충돌 평가에서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갖춘 차량에 TSP+ 등급을, 양호한 성적을 거둔 차량에 TSP 등급을 부여한다.

IIHS는 올해부터 뒷좌석 승객 안전 평가 기준을 한층 강화했다. 전면 충돌 평가에서 운전자 뒷좌석에 작은 체구의 여성 또는 12세 아동을 대표하는 더미(인체 모형)를 새롭게 배치했으며, 실제 충돌 사고 시 뒷좌석 승객에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부상 유형을 반영해 평가 방식을 보완했다.

또 해당 평가에서 지난해까지는 ‘양호함(acceptable)’ 등급만 받아도 TSP+ 등급을 부여했지만, 올해부터 TSP+는 ‘훌륭함(good)’, TSP는 ‘양호함(acceptable)’ 이상을 얻어야 획득할 수 있도록 기준을 높였다.

이밖에도 TSP+ 또는 TSP 등급을 받으려면 전방 스몰 오버랩, 측면 충돌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훌륭함(good)’을 받아야 한다. 주·야간 전방 충돌방지 시스템 테스트(차량과 보행자)에서 ‘양호함(acceptable)’ 이상의 등급을, 전조등 평가는 차량의 전체 트림에서 ‘양호함(acceptable)’ 이상 등급을 받아야 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매년 강화되는 IIHS 충돌 평가에서 현대차그룹의 다수 차종이 우수한 성적을 거둬 매우 자랑스럽다”면서 “앞으로도 첨단 연구와 설계, 기술을 통해 고객에게 글로벌 최고 수준의 안전과 품질을 갖춘 차량을 제공하도록 노력할 것”이라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