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전문가 "낮은수위 北도발이 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 경계해야"

[서울 =뉴스프리존]김 석 기자= 북한이 지난 30일 쏜 순항미사일이 최근 개발한 장거리 순항미사일 '화살-2형'이었다고 31일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조선인민군은 1월 30일 조선 서해상에서 전략순항미사일 '화살-2형' 발사 훈련을 진행했다"며, "해당 훈련은 우리 군대의 신속반격 태세를 검열하고 전략적 타격 능력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화살-2형을 통한 반격 태세를 확인했다고 주장함으로써 이 미사일의 전력화를 이미 마치고 일선 부대에 실전 배치했음을 시사하려는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이 30일 서해상으로 순항미사일 여러 발을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발표했다
북한이 30일 서해상으로 순항미사일 여러 발을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발표했다

한편, 한미 양국이 북한과 우발적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외교적으로 노력하면서도 확실한 대북 억제력을 과시해야 한다고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가 주장했다.

컨설팅회사 매크로 어드바이저리 파트너스의 한반도 전문가 수미 테리는 30일(현지시간) 외교안보 전문지 '포린 어페어스' 글에서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은 아마 전쟁을 원하지 않지만, 그가 잘못 판단해 전쟁을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김정은 위원장도 한국과의 전쟁이 미국의 군사 개입과 북한 정권의 종말을 의미함을 알고 있을 것이라며 "우려해야 할 이유가 많긴 하지만 김정은은 어떤 나라도 특히 미국을 상대로는 핵전쟁을 이길 수 없음을 인식하는 합리적인 행위자"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북한이 남한 영해를 향한 미사일 발사와 드론 비행, 서해 북방한계선(NLL) 침범 등 낮은 수위의 도발을 통해 남한의 보복 대응을 유도하고 이런 상황이 전쟁으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을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과 한국은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고 한반도에 평화가 유지되도록 북한과 대화를 재개하려고 하면서도 (한미동맹의) 군사적 우위와 목적에 대해 오해할 여지가 없는 신호를 보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미일 협력 강화, 한미 및 한미일 연합훈련 확대, 미군 전략자산 전개 등을 통해 미국이 한국을 방어할 준비가 됐고 그럴 의지가 있음을 보여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쟁은 불가피하지 않다"며 "지금은 패닉에 빠질 때가 아니라 북한에 (미국의) 결연함과 힘에 대한 신호를 보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북핵 문제 의견 밝히는 로버트 아이혼
북핵 문제 의견 밝히는 로버트 아이혼

한편 로버트 아인혼 전 국무부 비확산·군축 담당 특별보좌관은 미국평화연구소(USIP) 기고에서 한미가 북한의 비핵화라는 목표를 잠시 내려놓고 위험 감소에 집중할 것을 주장했다.

그는 한미가 북한과 남북 군사합의에 담긴 일부 신뢰구축조치 복원과 미사일 시험발사 사전 통지, 위기 대화 채널 구축 등을 논의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그는 "전쟁을 피하고 궁극적으로 평화를 달성하려면 억제는 외교와 함께 가야한다"면서 지금까지 북한이 한미의 대화 제의를 거부한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외교 노력을 재개해야 할 때가 됐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그는 북한이 핵무기를 포기할 가능성이 없더라도 북한을 합법적인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면 핵 비확산 체제를 훼손할 위험이 있어 안된다고 밝혔다.

인터뷰하는 제임스 루이스 CSIS 수석부소장
인터뷰하는 제임스 루이스 CSIS 수석부소장

제임스 루이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부소장은 이날 외교안보 전문지 '내셔널 인터레스트' 글에서 "김정은은 미치지 않았다. 그가 온갖 종류의 쇼를 할 수는 있어도 전쟁을 시작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루이스 부소장은 김정은 위원장이 미국의 침공을 막으려고 핵무기와 장거리 미사일을 개발하는 것이지 미국과 전쟁을 시작해서 이기려는 게 아니라고도 주장했다.

그는 "북한은 재래식 또는 핵 전쟁을 이길 수 없고, 어떤 전쟁을 하든 미국의 조건대로 남북통일이 이뤄질 것이며, 김정은은 모스크바나 베이징으로 도주해야 할 것임을 알고 있다"면서 "김정은이 정권을 위험에 빠뜨리는 행동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