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현지법인 통해 19.9% 지분 매입
한화시스템·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증
오스탈, 앨러배마·샌디에이고 등에 조선소
한화오션 필리조선소와 시너지 기대

오스탈의 미국 앨러배마주 모빌 조선소 전경. (사진=오스탈 홈페이지 갈무리)
오스탈의 미국 앨러배마주 모빌 조선소 전경. (사진=오스탈 홈페이지 갈무리)

한화가 호주에 본사를 둔 글로벌 조선 및 방위산업체인 오스탈(Austal)의 지분을 인수했다. 오스탈은 미군 함정을 직접 건조하는 4대 핵심 공급업체 중 하나로 한화그룹은 이번 투자를 통해 글로벌 조선∙방산 분야의 핵심 업체로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한화는 17일(현지시각) 호주증권거래소 장외거래를 통해 오스탈의 지분 9.9%를 직접 매수했다. 해당 지분 외에도 호주 현지 증권사를 통해 추가로 9.9% 지분에 대한 TRS(Total Return Swap·총수익스와프) 계약을 체결했다. TRS는 신용파생상품으로 주식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 주식에 연동된 수익·손실만 취하는 금융 계약을 말한다.

한화는 18일 호주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FIRB)에 오스탈에 대한 19.9% 지분 투자 관련 승인을 신청했다. 이번 투자는 한화시스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각각 60%와 40%의 지분을 보유한 호주 현지법인 'HAA No.1 PTY LTD'를 통해 진행했다.

한화시스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17일 유상증자를 통해 HAA No.1 PTY LTD에 각각 2천27억원, 642억원을 투입했다고 공시했다. 이로써 호주법인의 누적 자본금은 3천370여억원에 이른다.

한화는 이미 지난해 12월 국내기업 최초로 미국 필리조선소를 인수해 북미 조선과 방산 시장 진출 거점을 확보한 바 있다.

오스탈이 제조한 미 해군 연안전투함(LCS). (사진=오스탈 홈페이지 갈무리)
오스탈이 제조한 미 해군 연안전투함(LCS). (사진=오스탈 홈페이지 갈무리)

오스탈은 미 해군의 4대 핵심 공급업체 중 하나로 14억2천만호주달러에 달하는 수주 잔고를 보유하고 있다. 미국 내 소형 수상함, 군수지원함 시장점유율 40~60%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 서호주 헨더슨과 미국 앨러배마주 모빌,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필리핀, 베트남 등에 조선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앞서 한화오션은 지난해 4월 10억2천만호주달러(약 9천300억원)에 오스탈 인수를 제안했지만 오스탈 경영진이 거부해 무산된 바 있다.

마이클 쿨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해외사업 총괄 담당 사장은 “한화는 오스탈과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방위·조선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전략적 투자자로서 오스탈의 성장과 혁신을 지원하고, 호주 현지 방위산업 및 해군 조선 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과의 전략적 경쟁을 위해 자국의 군함·상선 능력을 대폭 증가시키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여기에 ‘미국을 위한 선박법’(Ships for America Act),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Ensuring Naval Readiness Act)이 발의돼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맹과의 대규모 조선 산업 협력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