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제조허브' 킹 살만 산업단지서 첫 삽
현대차 30%·사우디 국부펀드 70% 투자
사우디 국가 발전 프로젝트 중점 사업으로

현대자동차가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와 손잡고 중동 지역에 첫 생산 거점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현대차는 사우디아라비아 대표 브랜드 도약 기반을 확보하고, 사우디아라비아는 자동차 산업 발전을 위한 이정표를 마련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14일(현지시각) 사우디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에서 현대차 사우디 생산법인(HMMME·Hyundai Motor Manufacturing Middle East) 공장 착공식을 열었다고 15일 밝혔다.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는 사우디 자동차 산업 발전을 목표로 킹 압둘라 경제도시(KAEC)에 신규 조성한 자동차 제조 허브다.
HMMME는 현대차가 30%,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가 70%의 지분을 보유한 합작 생산법인이다. 2026년 4분기 가동을 목표로 연간 5만대 규모의 전기차와 내연기관차를 혼류 생산할 수 있는 공장으로 지어진다.
이날 착공식에는 반다르 이브라힘 알코라예프 사우디 산업광물자원부 장관, 야지드 알후미에드 사우디 국부펀드 부총재, 문병준 주사우디 대한민국 대사 대리,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 등 주요 인사와 관계자 2백여명이 참석했다.

알후미에드 국부펀드 부총재는 "HMMME는 사우디 자동차 산업 발전을 위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현대차와의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모빌리티 생태계 성장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장재훈 부회장은 축사에서 "이번 착공식은 현대차와 사우디 모두에게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의미한다"며 "HMMME가 사우디 '비전 2030'에 부응해 모빌리티 기술 개발 역량을 갖춘 현지 인재 양성 등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기존 에너지 중심 산업 구조를 제조업, 수소에너지 등으로 다변화하기 위해 국가 발전 프로젝트인 '비전 2030'을 추진하고 있는 사우디는 이번 협력을 이 프로젝트의 중점 사업으로 삼고 있다.
현대차는 사우디 국부펀드와 함께 현대차의 제조 기술과 사우디의 인재 및 인프라를 결합해 HMMME를 현지 모빌리티 생태계의 성장을 이끄는 핵심 거점으로 삼을 계획이다.
- 현대차, ‘2025 아이오닉 5’·‘2025 코나 일렉트릭’ 출시
- 美하원 공화, 전기차 세액공제 조기 폐지 발의...현대차·기아, 관세 이어 암초
- 정의선 현대차 회장 "기아 올해의차 수상, 혁신DNA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 현대차, 美관세에도 영업익 3.6조원 매출 44.4조...1분기 기준 역대 최대
- [현대차 정의선 리더십]③ 현대가 외향형 전통 'ENTJ' 유추, 그 미래는
- 현대차그룹, 고령 운전자 대상 11월까지 안전운전 실습 교육
- 현대차, ‘미래모빌리티학교’ 모집...초∙중등 대상 미래 인재 육성
- 현대차그룹, 1분기 글로벌 시장 3위 지켜...車시장 1분기 4.6% 성장
- 현대차 후원 '아세안 현대컵' 출범...아세안 챔피언십 새이름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2만대...대미 수출 1/3 감소 현지 생산 메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