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반도체법 보조금 재협상 추진"
보조금 수혜 기업, 중국 등 투자에 불만
인텔·TSMC·삼성전자·SK하이닉스 해당

미국 백악관이 반도체법(Chips Act)에 따라 미국 내 투자 기업에 지급하기로 한 보조금에 대한 재협상을 추진 중이며 보조금 지급을 연기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와, 이미 이 법에 따라 투자를 진행하고 보조금도 확정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우리 기업들이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영국 통신 <로이터>는 13일(현지시각)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소식통은 트럼프 행정부가 기존의 보조금 책정과 관련된 요구 사항을 재검토하고 변경한 뒤 일부 거래를 재협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변경 사항의 범위와 이미 확정된 보조금 합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덧붙였다.
대만 실리콘 웨이퍼 제조업체인 글로벌웨이퍼스는 <로이터>에 보낸 답변에서 "반도체법 프로그램 당국은 우리에게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및 정책들과 일치하지 않는 특정 조건들이 현재 재검토 대상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앞서 글로벌웨이퍼스는 미 텍사스주와 미주리주에 약 40억달러를 투자해 웨이퍼 제조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미 정부는 이 업체에 최고 4억600만달러(약 6천600억원)를 지급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논의 내용을 잘 아는 관계자는 백악관이 390억달러(약 56조3018억원) 규모의 반도체법 보조금 지급 조건에 대한 우려를 전했다.
여기에는 조 바이든 행정부가 요구한 노조 가입 노동자 고용, 공장 노동자들에 대한 저렴한 자녀 보육 서비스 제공 등의 조항도 포함된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백악관은 또 반도체법 보조금 수혜 기업 중 상당수가 중국을 포함한 미국 외 지역에 생산 시설 확장 계획을 발표한 것에 불만을 표했다고 다른 소식통이 전했다.
인텔은 지난해 3월 반도체법에 따른 계약을 체결한 뒤 10월에 중국 조립 및 테스트 시설에 3억달러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인텔은 두 차례에 걸쳐 22억달러(약 3조1760억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대만의 TSMC는 바이든 정부 때 15억달러(약 2조1655억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삼성전자는 미 텍사스주 테일러에 총 370억달러(약 53조4천억원) 이상 투입되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건설 중이며, 이에 따라 보조금 47억4천500만달러(약 6조8천억원)를 받기로 계약했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에 인공지능(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 기지를 건설하기로 하고, 최대 4억5천800만달러(약 6천600억원)의 보조금을 받기로 계약한 상태다.
- '비관세장벽' 빌미 美 상호관세, 부가세 한국 겨누나
- 美 투자 늘린 우리 기업, 로비금액도 역대 최대
- TSMC, 美서 4나노칩 첫 생산...삼성전자는?
- 현대차·기아 전기차 5종, 올해 美 IRA 보조금 대상
- 삼성 갤럭시 S25 체험 스튜디오 방문 30만 넘어
-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자국 AI 개발에 불리
- 'HBM 날개' SK하이닉스 인력 보강 집중
- '트럼프 관세' 대응 통상당국자·업계대표 잇단 방미
- 작년 주식배당 1위 삼성 이재용...주가 부진에 자사주 소각
- SK하이닉스, 용인 클러스터 첫 삽...HBM 거점 확대 서둘러
- SK하이닉스 미국 매출 2.6배 폭증...'양날의 검'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