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전망치 밑돈 매출 74조·영업익 4.6조
환율·관세도 수익성 악화...하반기 반등 기대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 부진이 이어지며 올해 2분기 4조6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10조4400억의 영업이익을 실현했던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5.94% 줄어든 수치다.
2분기 매출은 74조원으로 지난해 동기(74조700억원)에 비해 0.09% 줄고, 전 분기(79조1400억원) 대비 6.49%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8일 이같은 2분기 연결 기준 잠정 실적을 공시했다.
지난 1분기 6조6900억원을 기록했던 영업이익이 2분기에 31.24% 급감해, 분기별 기준으로 2023년 4분기 2조8247억원을 기록한 이래 6개 분기 만에 5조원 아래로 떨어졌다.
6조원대 초반을 예상한 증권가 전망치보다 크게 낮은 ‘어닝 쇼크’를 기록한 데에는, 반도체 사업을 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이 재고자산 가치 하락을 미리 평가해 실적에 손실로 반영한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이 주요 요인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은 메모리와 비메모리를 합쳐 1조원대 규모에 달할 것으로 업계에선 추정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날 연결재무제표와 함께 공시한 설명자료를 통해 "DS는 재고 충당 및 첨단 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 영향 등으로 전 분기에 비해 이익이 하락했다"고 밝혔다.

이에 더해 “메모리사업은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과 같은 1회성 비용 등으로 실적 하락하였으나, 개선된 HBM 제품은 고객별로 평가 및 출하가 진행 중”이라 설명했다.
이어 "비메모리사업은 첨단 인공지능(AI) 칩에 대한 대중 제재로 판매 제약 및 관련 재고 충당이 발생했으며 라인 가동률 저하가 지속돼 실적이 하락했으나, 하반기는 점진적 수요 회복에 따른 가동률 개선으로 적자 축소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반도체 사업 부진에 더해 원달러 환율 하락과 미국발 관세 여파가 전 사업 부문의 실적을 끌어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발표된 잠정 실적에 대해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HBM 실적이 계획에 미치지 못했고, 낸드는 전 분기 대비 가격이 하락하면서 적자 규모가 소폭 확대된 것으로 추정한다"며 "파운드리도 1분기와 비슷한 수준의 적자를 예상하며, 6월 이후 급락한 원달러 환율도 매출과 영업이익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연합뉴스>에 말했다.
올해 1월 AI 에이전트 기능을 강화해 출시한 갤럭시 S25 효과로 지난 1분기 전사 실적을 이끈 모바일경험(MX)사업부는 2분기에도 2조원대 영업이익을 냈을 것으로 주요 증권사들은 예상하고 있다.
지난 5월에 출시한 초슬림폰 갤럭시 S25 엣지가 기존 S25 시리즈 판매 호조와 함께 비수기 공백을 메웠다는 회사의 설명이다.
TV와 가전 사업은 글로벌 경기 둔화로 수요 위축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의 철강 파생 제품 관세 부과 등으로 인한 비용 증가가 맞물려 수익성이 악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전자는 이날 부문별 실적은 밝히지 않았지만, 증권가에서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 1조원대, 모바일경험(MX)·네트워크사업부 2조원대, 디스플레이 6천억∼7천억원, TV·가전 4천억∼5천억원, 하만 3천억∼4천억원 등의 영업이익을 예상했다.

삼성전자 실적은 2분기에 저점을 찍고 하반기에는 메모리 위주로 회복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다. 메모리 가격 상승으로 업황 기대가 커지고 있고, 실적 버팀목 역할을 해온 모바일과 디스플레이가 성수기에 들어서기 때문이다.
당장 오는 9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폴더블 신제품인 ‘갤럭시 Z플립7·폴드7’가 공개된다. 역대 가장 두께가 얇은 폴더블폰에 자체 개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선(AP) ‘엑시노스 2500’을 탑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대역폭메모리(HBM)에서는 HBM3E(5세대) 12단 제품의 엔비디아 공급에 전사적으로 힘을 싣는 한편, HBM4(6세대) 양산도 하반기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최근 미국 빅테크 AMD와 브로드컴에 HBM3E를 공급하는 등 HBM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전영현 DS부문장(부회장)과 주요 경영진들이 지난달 말 직접 실리콘밸리를 찾아 엔비디아 측과 HBM3E 12단 품질 인증(퀄 테스트)과 공급 가능성에 대한 구체적 논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날 주주가치 제고 및 임직원 주식 보상을 목적으로 총 3조9119억원 규모 자기주식 취득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취득 예정 주식은 보통주 5688만8092주(3조5천억원), 우선주 783만4553주(4천억원)이다.
이로써 지난해 11월 발표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1년간 10조원 규모의 자사주 분할 매입은 완료됐다.
- 삼성 반도체부문, 성과급 축소·임원은 반납...낸드·파운드리 부진 탓
- 파운드리 부진에 홍보보다 '내실'...삼성, 파트너 행사 축소·비공개
- 삼성전자, 9일 뉴욕서 갤럭시 Z 플립·폴드 7 언팩...AI 개선
- 삼성전자, 관세·전쟁 등 글로벌 격랑 속 하반기 전략 논의
- 삼성, 美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젤스’ 인수...건강·의료 연결
- 삼성, 접어도 일반 폰 두께 Z폴드7 공개…식단·코디 제안 'AI 눈' 탑재
- 이재용, 글로벌 재계 거물 모임 뒤 귀국...17일 사법리스크 벗을까
- [속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대법원 상고심서 무죄 확정
- 9년 만에 '사법 굴레' 벗은 이재용, 기술리더·신사업 '시동'
- 美 "반도체 관세 2주 뒤 발표"...삼성전자·SK하이닉스 '비상'
- 삼성, 테슬라 상대 23조원 파운드리 '잭팟'...머스크 "라인 둘러볼 것"
- [한미정상회담]젠슨 황 사이에 둔 이재용·최태원, 한미 경협 이면 경쟁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