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쁨, 두려움, 슬픔, 성냄, 탐욕, 싫어함 등 6가지 감정의 개념 이해와 더불어 상상으로 기억을 다 버리기 위한 지감수행을 지속

[전통사상인 홍익인간 사상의 현대 적용에 의거 인간과 자연 간의 조화 및 공존을 지향할 수 있도록 국가 에너지절약정책의 현대적 구현방향을 강구해 보고자 한다. 본 내용은 임기추박사의 저서 “현대홍익에너지절약론(2023)”을 바탕으로 연재한다.]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기쁨・두려움・슬픔・성냄・탐냄・싫어함의 기억을 인연・장소・시간별로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기쁨・두려움・슬픔・성냄・탐냄・싫어함의 기억을 인연・장소・시간별로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수행자세는 남녀노소와 빈부귀천 등에 관계없이 누구든지 시간장소나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든지 어디서나 혼자든 집단이든 편안한 자세로 취할 수 있다. 얼마든지 일반시민이든 누구든지 수행자별로 수행기법이나 수행자세 등을 달리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오랜 기간 동안 명상 수행을 위해서는 가부좌와 같은 정자세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지감의 거짓감정 수행방법 예시

눈을 감고 상상으로 우주선에 탑승하자마자 이윽고 추락하여 내가 죽는구나. 영혼이 되어 우주로 가더니, 세월이 10년 흐르고, 50, 100년 흐르고 훌쩍 지나 500, 1,000, 5,000년 세월이 흐르고, 10,000, 100,000년 세월이 흘렀구나. 흘러 흘러 1억년, 1경년이 흘렀구나. 아득히 영원, 영원 영원 세월이 흘렀구나, 만상만물이 나기 전 순수우주 허공이로구나.

기쁨의 기억을 10대 이전 까지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10대 까지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수행자 여건대로)

기쁨의 기억을 10대 이후 20대 까지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20대 이후 30대 까지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30대 이후 40대 까지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40대 이후 50대 까지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50대 이후 60대 까지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60대 이후 까지 수행자 각자 여건대로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현재 살고 있는 지구 위의 우주허공에 앉아

기쁨의 기억을 태어나서 유치원 까지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유치원 이후 초등학교 까지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초등학교 이후 중학교 까지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중학교 이후 고등학교 까지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고등학교 이후 대학교 까지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대학교 이후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기타 학교 시절에 대해 수행자 각자 여건대로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수성 위의 우주허공에 앉아

기쁨의 기억을 아버지에 대해 기억나는 대로 다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어머니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형제와 자매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애인과 배우자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직장 상사와 동료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친척과 친지에 대해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기억을 기타 기억나는 모두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기쁨의 감정 기억이 다 버려지나 명상하라

눈을 감고서 우주허공에 남은 것이 무엇인지 잠시 명상해 보라

[생략]

이처럼 기쁨의 기억이 나이학교가족인간관계별로 떠오르는 대로, 그리고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인연장소시간별로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지식경험지혜물질생활육체정신죽음 등에 관해, 모두 떠오르지 않을 때까지 블랙홀에 버려라. 블랙홀마저 다 버려라. 버리고 있는 그 자체도 다 버려라. 이외에 두려움슬픔성냄탐욕싫어함의 기억이 나이학교가족인간관계별로 떠오르는 대로, 그리고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인연장소시간별로 떠오르는 대로 버려라. 지식경험지혜물질생활육체정신죽음 등에 관해, 모두 떠오르지 않을 때까지 블랙홀에 버려라. 블랙홀마저 다 버려라. 버리고 있는 그 자체도 다 버려라.

수행으로 기쁨두려움슬픔성냄탐욕싫어함의 기억이 다 버려지나. 이 기억이 떠오르지 않을 때까지 더 지우라. 이 기억이나 영상이 있는지 명상해 보라.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지속가능한 저널리즘을 만듭니다.

정기후원 하기